정부가 해양교통·정보분야에서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한다. 연평균 8% 성장하는 이 시장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발굴·육성해 세계 시장 진출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5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선박의 디지털화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선박이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변화하는 데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 선박, 바다 내비게이션 등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관련 시장은 연평균 8% 수준으로 빠르게 성장해 2027년에는 전 세계 14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해수부, 관련 창업·중기 적극육성
자율주행·바다 내비 등 개발 산업
연평균 8% 성장시장… 기업 늘려
42개 핵심기술 확보 수출 뒷받침
올해 기준 우리나라 기업들이 세계 해상교통정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1%로 1조2천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정부는 시장 42개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이 분야에서 매출 100억원 이상 수출 기업을 현재 7개에서 2027년까지 21개로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해양신산업 펀드를 활용해 유망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에 자금을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또 2027년까지 2천3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해 지능항해장비 등 42개의 디지털 핵심기술과 선박 탄소배출량 저감 서비스 등 39개의 상용화 서비스를 개발키로 했다.
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외 항로에서 실증, 해외인증 취득 비용 등을 지원하고,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활용해 개발도상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도 확대한다.
인천항과 부산항 등 국내 대표 항만 등은 각 해양교통 관련 기업들이 제품 상용화에 앞서 성능 등을 검증하는 실증 장소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부는 이번 대책을 추진하기 위해 산·학·연, 정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하기로 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우리나라 해운·조선산업이 가진 경쟁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업을 육성해 우리나라의 수출과 경제 성장을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