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신과 의사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치며 최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환자가 연간 100만명을 넘어섰지만 관련 인프라는 부족한 셈이다.

10일 '정신건강의 날'을 맞는 가운데 9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 강은미(정의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인구 1천명당 정신과 의사 수는 2020년 기준 한국이 0.08명으로 그 해 통계가 있는 29개국 평균 0.18명의 절반 이하였다. 한국보다 낮은 나라는 멕시코(0.01명), 콜롬비아(0.02명), 튀르키예(0.06명) 등 3곳뿐이었다.

이 같은 상황은 정부와 의료계의 정신건강 분야 투자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정부 보건예산 중 정신건강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1.9%(3천158억원) 수준으로 매우 낮았다.

의사 수 자체가 부족한 데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이 처우가 나은 민간병원이나 개원을 선호하면서 중증 환자들이 많이 몰리는 국립정신병원이 심각한 구인난을 겪는 것도 문제다.

한편 정신과 의사 부족 현상이 심한 상황에서, 대표적인 정신 질환 중 하나인 우울증 환자는 증가 일로를 걷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보면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2018년 75만2천976명, 2019년 79만9천11명, 2020년 83만2천378명, 2021년 91만5천298명 등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지난해에는 100만744명으로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