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여의도 면적과 맞먹는 옛 송도유원지 일원을 경제자유구역으로 확대 지정하기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 용역 결과 등을 토대로 내년 하반기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인천경제청은 '송도국제도시 일원 경제자유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용역' 착수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경제청, 3.16㎢ 대상 용역 착수
내년 하반기 산자부에 신청키로
이번 용역은 약 90% 이상 개발이 완료된 송도국제도시의 부족한 바이오·첨단산업 등 투자용지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개발 지연 등으로 사실상 방치된 옛 송도유원지 일원 약 3.16㎢를 대상으로 한다. 인천경제청은 이 일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해 첨단산업·관광·레저·주거기능을 포함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구상이다. → 위치도 참조

옛 송도유원지를 포함해 부영그룹이 소유하고 있는 테마파크 부지, 송도 석산, 동양화학 유수지 등이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대상에 포함됐다. 인천경제청은 용역을 통해 ▲송도유원지 일원에 대한 종합적인 개발계획 수립 ▲교통수요 예측·광역교통계획 수립 ▲산업수요 예측 ▲경제성 분석 등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실행 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매립지·강화·내항 등 추진 계획
"새 인천 성장동력으로 삼을 것"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은 유정복 시장 취임 이후 옛 송도유원지 일대 외에 서구 수도권매립지 일대, 강화 남단, 중구 내항 등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하기 위한 용역을 잇따라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와 강화 남단 지역은 '뉴홍콩시티' 사업을, 중구 내항 일대는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각각 뒷받침한다.
이들 사업은 모두 유정복 시장의 주요 공약에 포함돼 인천시가 역점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정 추진 면적은 총 49.99㎢로 현재 인천 경제자유구역(122.4㎢) 규모의 40.8%에 달한다.
이 같은 경제자유구역 확대 추진과 관련해 일부 인천 시민단체들은 기존 경제자유구역도 미개발로 해제된 곳이 있는 만큼 투자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송도국제도시와 인접해 있는 옛 송도유원지 일원은 경제자유구역의 개발 파급 효과가 미치지 못해 매우 낙후된 상태"라며 "첨단산업과 관광 등을 연계한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통해 새로운 인천의 성장 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