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 강박'은 정신 질환이다. 쓸모없는 물건인 데도 버리지 않고 집 안팎에 쌓아놓는 것이 일반적 현상이다. 이들은 타인에겐 쓰레기일 뿐인 물건을 소중하게 여긴다.
가족 등 주변에서 이런 물건을 치우려고 하면 고통이나 괴로움 등을 느낀다고 한다. 저장 강박은 가정불화의 불씨가 되기도 한다. 모아둔 물건 때문에 벌레가 꼬이고 집 밖으로까지 나온 쓰레기에 이웃들도 피해를 본다. 10대부터 고령층까지 다양한 연령대에서 저장 강박이 나타난다.
원인은 다양하다.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전용호 교수는 "사회적, 경제적 결핍을 느끼는 가구에서 저장 강박 증상을 겪는 사례가 많다"며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의 결핍을 해소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질병 관리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가천대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승걸 교수는 "저장 강박은 인지행동치료 또는 약물치료를 꾸준히 받아야 하는 질병"이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저장 강박 의심 가구엔 지자체가 정신건강 상담과 함께 치료비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태 조사가 급선무다.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전지혜 교수는 "저장 강박은 거주자의 안전, 건강 등이 위협되는 '자기 방임'의 상황"이라며 "이런 가구가 얼마나 되는지부터 지자체가 파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정부 대책이 필요하다.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임명호 교수는 "저장 강박은 불안, 치매, 우울증 등을 동반한다"며 "쓰레기를 치우더라도 정신과 상담 등 치료를 받지 못하면 평균 6개월~1년을 주기로 다시 '쓰레기 집' 상태로 돌아오는 가구가 많다.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백효은기자 100@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