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1301000419000021601.jpg
13일 오전 수원시청 앞에서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수원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최근 불거진 수원 전세사기 의혹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2023.10.13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수원 전세사기 의혹' 사건과 관련해 경기도가 피해 주택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지난 13일까지 경기도전세피해지원센터에 들어온 수원 전세사기 의혹 사건의 임차인 피해 신고 건수는 모두 408건으로 집계됐다.

잠적한 임대인 정모씨 일가(법인 포함)로부터 빌라나 오피스텔 등의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기에 처한 임차인들로 20~30대가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됐다.

도는 국토교통부 등과 협의해 정씨 일가의 소유 주택에 대한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도는 아울러 전세 피해자에 대해 자체적으로 긴급생계비(100만원)를 지원할 계획이며, 피해 주택의 관리주체가 없어 승강기나 건물 관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만큼 경기주택도시공사(GH)에서 긴급 관리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 관련기사 7면('수원 전세사기 일가족' 지방세 체납 속속 드러났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