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학교 급식실 종사자들이 여전히 강도 높은 노동과 열악한 근무 환경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수년째 인력 충원과 급식실 환경 개선을 요구하고 있지만, 인천시교육청 차원의 대책 추진이 더딘 실정이다.
인천지역 학교 급식실 종사자들의 처우 문제는 최근 조리실무사 2명이 추가로 폐암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재점화(10월 6일자 20면 보도=인천 학교 급식실서 또 폐암 2명… "대책 절실")됐다.
이로써 인천에서는 급식실 종사자의 폐암 누적 확진자가 6명으로 늘었다. 일반적으로 급식실 내부는 고온다습하고, 기름 요리 시 발생하는 발암물질인 '조리 흄(Fume)'에도 노출되기 쉽다. 이러한 환경은 폐 질환 등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폐암 확진자나 의심자는 생계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유급병가가 60일까지만 가능하고 이후에는 무급 휴직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산업재해 판정을 받으면 다행이지만, 이마저도 족히 6개월 이상이 걸린다. 이때까지 치료비 등은 모두 스스로 부담해야 한다. 폐암 확진을 받은 인천지역 급식실 종사자 중 산업재해가 인정된 이들은 2명뿐이다.
인천 누적 확진 6명에 산재 인정 2명뿐… 인력난까지 이중고
예산 948억 공립학교 설비 개선 사업 2024년→2026년 미뤄져
급식실 종사자들은 인력난에도 허덕이고 있다. 현재 인천지역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에 근무 중인 조리실무사는 499개 학교에 총 2천639명이다. 이는 '인천시교육감 소속 근로자 정원 관리 규정'에 명시된 조리실무사 정원(3천28명)보다 389명이 부족하다. 나머지는 기간제 노동자로 채우거나 공석인 상태다. 인천시교육청은 올해 9월 1일자로 조리실무사 226명을 신규 채용해 발령을 냈지만 한 달도 채우지 못하고 21명이 그만뒀다.
인천시교육청은 폐 질환 등 건강을 위협받는 학교 급식실 종사자들을 위한 대책으로 올해 6월 '급식실 업무환경 개선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예산 948억원을 들여 474개 공립학교에 환기 설비 개선 사업을 한다는 계획인데, 애초 2024년까지 모두 착공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2026년으로 계획이 미뤄졌다. 이는 각 학교 학사 일정을 고려한 것으로, 이번 겨울방학에야 3개 학교가 공사에 들어간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아이들 급식에 차질이 없어야 해 평일 공사는 불가능하고, 사실상 방학에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늦어도 2026년까지는 모든 학교에서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라며 "산재 판정 기간 생계 문제는 지원 가능한 방향으로 협의 중이고, 조만간 채용 공고를 내서 500명 이상 대규모로 조리실무사를 채용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