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기 위암 수술 후 항암치료(보조항암화학요법)를 받은 경우 혈전색전증 발생에 유의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혈전색전증은 혈전이 혈관을 따라 떠돌다 뇌나 폐 등 주요 장기의 혈관을 막아 자칫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위험한 질환으로, 암이 대표적인 위험인자이다.

아주대병원 종양혈액내과 안미선 교수팀은 2013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근치적 수술 후 위암 2기나 3기 진단을 받고 보조항암화학요법(CAPOX, S-1)을 시행받은 환자 611명을 대상으로 치료 중이거나 종료 후 1년 이내 혈전색전증 발생 빈도와 위험인자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 중 3.3%(20명)에서 혈전 색전증이 발생했다. 그 중 19명이 S-1 치료를 받았고, 가장 많이 발생한 혈전색전증 유형은 뇌경색(5명)과 폐혈전색전증(5명)으로 조사됐다.

또 혈전색전증의 발생 위험요인은 여러 임상 소견 중 고령(70세 이상)·S-1 요법·고혈압이었고, 다변량 분석 결과 이중 '고령'만이 독립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70세 이상 환자의 경우 70세 미만 환자에 비해 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3.07배 높았으며, 발생률은 70세 미만 환자가 1.6%, 70세 이상 고령 환자가 7.8%로 나타났다.

수술 후 재발방지를 목적으로 시행하는 보조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에서 혈전색전증에 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특히 이번 연구는 현재 표준치료법인 S-1이나 CAPOX 보조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 결과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안미선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보조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들의 혈전색전증 발생률은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전이성 또는 재발성 위암 환자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양상을 보였다"면서도 "하지만 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기 전 환자에게 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70세 이상 고령 환자의 경우 치료 중이거나 종료 후에 일정기간 혈전색전증 발생여부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