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3년간 전국에서 4만건이 넘은 축산농가 악취 민원이 제기됐다. 수도권 지자체 중 경기도의 경우 5천여건에 달하는 악취 민원이 제기, 축산농가와 주민 간 상생 방안 마련 등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더불어민주당 소병훈(경기 광주갑)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최근 3년간 시·도별 축산농가 악취 민원 접수현황'에 따르면 전국 축산시설 악취 미원은 모두 4만1천617건으로 집계됐다. 경남이 1만3천108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충남 5천994건, 경기 4천959건, 제주 4천766건 등 순이었다.
18일 더불어민주당 소병훈(경기 광주갑)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최근 3년간 시·도별 축산농가 악취 민원 접수현황'에 따르면 전국 축산시설 악취 미원은 모두 4만1천617건으로 집계됐다. 경남이 1만3천108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충남 5천994건, 경기 4천959건, 제주 4천766건 등 순이었다.
3년간 시·도별 접수 현황 집계
전국 3위… 안성시 973건 최다
전국 3위… 안성시 973건 최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과 인천은 각각 0건, 324건이었으나 경기도는 5천여건에 달하는 악취 민원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 위원장이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도내 시·군별 축산농가 악취 민원 접수현황을 보면, 지난 9월 기준 안성시가 973건으로 가장 많았고 화성시 883건, 양주시 753건, 포천시 554건, 평택시 455건 등 순이었다. 도농복합지역에 속하는 파주시(248건), 김포시(202건), 고양시(42건) 등에서도 꾸준히 악취 민원이 제기됐다.
특히 지난 7월 전남 보성의 한 양돈농가에서는 농장주가 반복된 악취 민원에 따른 스트레스 등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적인 일이 발생, 소 위원장은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 위원장은 "전국에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있는 민원을 정부가 방치하지 말고 민원에 따른 부담을 농민들에게만 전가해서는 안 된다"면서 "가축분뇨 제도를 개선하는 등 친환경 축산업으로 방향을 유도하고 주민 참여 악취 갈등 해결 협의체 운영을 확대하는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