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성장 둔화로 내년 국내 석유화학, 해운업은 침체가 불가피한 반면 자동차는 호조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1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일반산업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중국이 시진핑 3기 출범 이후 부동산, 빅테크, 사교육 등 민간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미국 등 서방과의 갈등이 심화하면서 장기 성장률이 코로나 팬데믹 이전(7.9%)의 절반 수준으로 둔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미국이나 인도와 같은 글로벌 대형 시장 접근성이 떨어져 성장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진단, 국내 기업들이 반사 이득을 얻을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자동차 기업들은 미국·인도 등 세계 대형 시장 진출에 걸림돌이 적고 양호한 재무투자 여력으로 중국과 경쟁에서 우위에 있다고 평가했다.
하나금융硏 '2024 일반산업 전망'
국내 車기업들 '반사이득' 얻을것
반면 석유화학 업종은 중국이 자체 생산역량을 확충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대중국 수출 비율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의 설비는 나프타를 기반으로 하는 우리와는 달리 원유로부터 직접 제품을 생산하는 COTC 공정이 적용돼 가격 경쟁력도 우리 보다 높은 상황이다.
하나금융연구소는 해운업 역시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는 해상 운송 수요 감소와 운항거리 축소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미·중 갈등 심화로 태평양 항로의 물동량 감소가 불가피한데 이 항로는 국내 선사들의 의존도가 높아 운임 하락에 따른 실적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하나금융연구소는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는 내년 국내 산업에 큰 영향을 주지 않겠지만 지금부터라도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중장기적으로 큰 비용을 초래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나금융연구소 관계자는 "중국 고성장의 한계와 미·중 갈등 심화로 글로벌 가치사슬이 약화하면서 내년 국내 산업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