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세창고 등 항만 관련 물류시설이 집적된 인천 중구 지역에 대형 내수 물류창고가 잇따라 들어서고 있어, 도시의 전체적인 계획을 가지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인천연구원이 내놓은 '인천 내항 일원 항만 기능 이전에 따른 배후 물류시설 실태 및 기능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21년 인천 중구에 건설된 물류창고는 21개다.
이들 창고의 연면적의 합은 100만4천468㎡이며, 평균 연면적은 4만7천832㎡에 달한다. 2004년 이전 인천에 지어진 창고는 연면적 5천㎡ 이하가 대부분이다. 2005~2016년에 지어진 창고들도 평균 1만㎡ 안팎인 것과 비교하면, 창고의 대형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인천 남항 인근에 지어진 대형 창고시설은 항만 수출입 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택배 등 생활물류 물동량을 취급하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연구원, 물류시설 실태 보고서
보세창고 집적된 곳에 잇따라 건립
소음·교통 체증 등 민원 다수 발생
풀필먼트는 기업이 판매자 대신 상품의 준비부터 포장, 배송까지 물류의 전 과정을 담당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CJ대한통운, 한진, 쿠팡 등이 운영하는 물류센터가 대표적이다.
과거 인천 중구에는 대부분 항만 관련 보세창고 등이 집적돼 있었으나, 그 기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인천항 물류 중심이 송도국제도시 신항으로 옮겨가고 있고, 전자상거래가 활성화하는 데 따른 변화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2015년 신항이 개항하면서 남항(중구)에서 처리되던 컨테이너 물동량이 이전했고, 내항과 남항 배후에 있던 항만 관련 물류시설이 내수 등 타 용도의 창고시설로 전환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중구 지역 창고의 대형화와 내수화는 전자상거래와 택배 등 생활물류 물동량이 급증한 영향을 받았는데, 자산운용사들이 투자 목적으로 대형 창고를 건설한 점도 변화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인천 중구 지역에서 이러한 변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도시 전체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내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관리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물류 창고가 대형화하면서 소음과 교통 체증 등 지역 주민들의 민원도 다수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보세창고 등 소형 창고가 운영되던 공간에 대형 창고가 무분별하게 건립되면서 생긴 문제라는 것이 연구진 설명이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운수 교통물류연구부 선임연구위원은 "내항·남항 배후지역은 준공업지역과 상업지역이 공존하고 있어 물류센터와 공동주택지로 전환하려는 수요가 많지만, 지역 마스터플랜 등을 토대로 한 허가 기준이나 관리 방안은 미흡하다"고 했다.
이어 "물류시설 수요 검증 등 도시 전체적인 계획 안에서 더욱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