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방침과 관련, 인천지역 시민사회가 '인천대학교 공공의대 신설' 정책 추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인천지역 시민사회 단체들로 구성된 '공공의료 강화와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범시민협의회'는 18일 논평을 내고 "인천 정치권과 유정복 인천시장은 국립 의과대학이 없는 인천에 우선으로 공공의대가 신설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치료가능 사망률 현황'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천의 인구 10만 명당 '치료 가능 환자' 사망자는 51.49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제때 치료받지 못해 조기에 사망한 환자가 인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이다.

범시민협의회는 "앞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인천시와 전라남도, 경상북도를 최악의 의료취약지로 선정한 바 있다"며 "전국의 의대 정원 현황에 따르면, 서울은 인구 1만명당 0.9명, 부산은 1.0명이지만 인천은 0.3명으로 크게 낮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천지역 여야 정치권은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립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을 각 당 공약으로 채택해야 한다"며 "범시민협의회는 인천시민의 건강권 보장과 '대국민 공론화 기구' 구성을 위해 전국의 의료취약지역, 공공보건의료단체 등과 연대해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