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양육시설에서 경계선지능·ADHD 아동을 돌보는 종사자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24일 발표한 '아동양육시설 경계선지능 및 ADHD 아동 지원 강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인천지역 8개 아동양육시설(보육원 등)에 입소해 있는 아동 403명 중 경계선 지능(102명)·ADHD(73명) 아동은 전체의 약 4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계선지능·ADHD에 모두 해당하는 아동은 151명으로 37.5% 비율이었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학대로 인한 입소 아동이 늘고 있어 과거보다 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보호대상아동 발생 원인을 보면 학대로 인한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다. 인천의 경우 학대로 인한 보호대상아동 발생 비율이 지난 2012년 20.5%에서 2021년 57%로 높아졌다.

연구진은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구진이 인천 아동양육시설(8곳) 종사자 4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경계선지능·ADHD 아동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비율이 각각 68%, 80%로 나왔다. 주된 이유로는 '업무량 과다'와 '전문적인 지식 부족' '매뉴얼 및 지침 부족' 등의 응답이 높았다. 연구진은 아동양육시설 인력 추가배치, 종사자 역량 강화, 종사자 심리 지원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연구진은 또 외부기관과의 연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계선지능·ADHD 아동은 병·의원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다. 현재 보건복지부의 경계선지능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와 인천시의 시설 경계선지능·발달 지연 아동 심리치료 지원사업은 주로 심리상담·사회성 발달·학습지원·심리검사 비용 지원 등으로 구성돼있다. 이들 사업만으로는 아동들에게 병·의원 치료 지원을 제공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게 연구진 분석이다.

연구를 주도한 정혜은 도시사회연구부 연구위원은 "서울 성북구 정신건강복지센터와 경기도 정신건강복지센터는 국비지원 외에도 ADHD 진단자에 대해 정신과 외래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며 "(인천에서도) 외부기관과 연계해 아동이 외부에서 전문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시·아동복지협회·전담의료기관의 연계체계를 구축해 아동양육시설 경계선지능·ADHD 아동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