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3101001143200059781.jpg
지난 30일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 2층 대회의실에서 '시·군 장애유형별 당사자단체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2023.10.30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제공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부설 경기도장애인종합민원상담센터(센터장·김기호)가 지난 30일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 2층 대회의실에서 '시·군 장애유형별 당사자단체 종사자 처우 개선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로 장애유형별 당사자단체의 역할이 커지고 장애인단체를 통해 제공되는 복지서비스의 총량도 증가하는 가운데 장애유형별 당사자단체 종사자들의 처우 개선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장애인인권센터 서인환 회장은 발제를 통해 "장애의 개념이나 서비스 개발이 장애인단체에 의해 변화하고 있고 장애인당사자와의 네트워크 형성을 지역사회 장애인 서비스전달체계에서 말초신경 역할을 하고 있다"며 장애유형별 당사자단체 종사자 처우개선사항으로 '경력인정·인건비지급 기준 마련·보수교육·안전조치 마련'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어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이영순 박사, 한국지체장애인협회 기영남 정책시설국장,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박진수 양평군지회장,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남양주시지회 박지영 과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박진수 양평군지회장은 양평군지회 종사자 인건비지급 기준을 최저임금에서 생활임금으로 변화시킨 사례를 발표한 뒤 "장애인단체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해서는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돼 장애인단체에 종사하는 직원들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기본급에 준하도록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영남 정책시설국장은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종사자의 경우 낮은 급여로 근속연수가 짧고 이직을 고민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지적하며 "장애인단체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한 연구 선행이 필요하고 장애인단체 고유역할과 안정적 운영 및 종사자의 처우개선을 위해선 지자체에서 장애인단체 운영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재용 의원은 "장애유형별 당사자단체 종사자들의 처우가 열악한 현실에 매우 공감한다"며 "도의회 차원에서 적극 협조해 지체장애인협회뿐만 아니라 모든 장애유형별 당사자단체 종사자들의 처우가 개선될 수 있도록 정책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기호 센터장은 "시·군 장애유형별 당사자단체가 진정한 복지 파트너로서 인정받고 고용복지 사각지대에서 신음하고 있는 우리 장애유형별 당사자단체 종사자들의 처우가 하루빨리 개선돼야 한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종사자들이 일하는 만큼의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기틀이 마련되기를 소망한다"고 밝혔다. 

/김신태기자 sinta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