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그렇다.
문: 장래에도 또 조선독립운동을 할 것인가.
답: 나는 한일병합에는 조선사람이므로 물론 반대하였고, 앞으로도 기회만 있으면 (독립운동을) 할 것이다.
1919년 3월20일, 이종훈 애국지사의 서대문 감옥 조서에 나오는 문답내용이다.
1919년 3월1일, 태화관에 모인 민족대표 33인은 민족의 독립을 위해 독립선언을 하고 일본 경찰에 검거된다. 당시 64세로 민족대표 33인 중 최고령자였던 이종훈 선생은 일본의 심문에도 꿋꿋하게 독립운동 의사를 밝힌다.
동학지도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정암 이종훈(1856~1931) 선생은 광주 실촌면 유여리(현재 곤지암읍 유사리)에서 태어났다. 1883년 무렵부터 동학운동에 참여한 선생은 2차 봉기 때 경기·충청·강원 지역에서 20개가 넘는 포(包)를 지휘했다. 전봉준과 연합군을 만들어 동학군의 대본영을 설치하고 1898년 2대 교조 최시형이 교수형을 당하자 시신을 빼내 장례를 치르는 등 동학운동에서 중추적 역할을 했다. 이후 천도교에 입문해 손병희의 가르침을 받고 최고직인 장로에 오른 선생은 1919년 3·1 독립선언서에 서명했다. 이로인해 옥고를 치르고도 1920년대 문화운동과 민주주의 확산을 지지하며, 만주의 무장투쟁과 국내의 민족세력을 연계하기 위한 고려혁명당을 이끌며 독립운동을 펼쳤다. 선생은 눈감는 날까지 독립운동에 몸 바친 진정한 순국선열이다.
정암 이종훈 등 독립유공자 16인 광주서 활동
市, 항일운동 사적지 조사로 역사조명 온힘
광주에는 정암 이종훈 선생뿐만 아니라 임시정부 내무부장 신익희와 광복군 신하균 부자(父子), 항일 의병장 구연영과 항일 의병 구정서 부자(父子), 임시정부 의정원의 신정완, 3·1 독립운동에 참여한 김인택, 오수식, 오용이, 유민영, 임무경, 정제선 등 모두 16분의 항일 독립운동 유공자가 활동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 중 아는 이름이 많지 않을 것이다. 묻혀진 순국선열을 발굴하고 널리 알려야 이들의 고귀한 희생이 의미를 되찾을 수 있다.
오는 11월17일은 '제84회 순국선열의 날'이다. 대한민국의 국권회복과 조국독립을 위해 헌신한 애국자를 추모하는 법정기념일이다. 11월17일을 기념일로 정한 것은 1905년 11월17일에 체결된 을사조약의 치욕을 잊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다.
광주시는 관내 항일운동 사적지에 대한 일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독립운동 사적지의 정확성과 학술적 가치를 규명하고, 독립운동 사적지에 기념표식을 설치하는데 기초자료로 삼기 위한 목적이다. 이를 통해 3·1운동 만세운동지역과 의병 전투지역의 기록을 찾아내는 등 우리 지역의 독립운동 역사를 조명하기 위한 노력이 빛을 발하고 있다.
지난 8월 말, 해당 조사의 중간보고회에서는 구한말 전국에서 1만7천여 명의 무명 전사 의병이 있었고, 광주지역에도 무명 전사 의병 33명의 희생이 있었음이 밝혀졌다. 전국 최초로 무명 전사 의병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광장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외에도 독립운동 사적지 탐방로 조성, 독립운동 해설사 배치, 독립운동 사적지 활용 프로그램 운영 등 독립운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을미의병 최대 격전지인 남한산성을 찾아서
'법정기념일인 17일' 그분들 고마움 새겨보자
을미의병은 1895년 동학농민운동에서 이어진 본격적인 항일 의병운동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을미의병의 최대 격전지가 바로 광주에 있는 남한산성이다. 남한산성은 삼국시대부터 이 지역뿐 아니라 국가의 안위를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고, 일제 침략에 맞서서도 가장 치열하게 독립운동을 펼쳤던 곳이다. 광주지역에서 가장 활발한 항일운동이 이뤄진 곳으로 항일운동 기념탑도 세워져 있다. 11월17일 하루만큼은 남한산성을 찾아 순국선열의 위훈을 기리고 이들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의 고마움을 마음에 새겨보는 것은 어떨까.
/방세환 광주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