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사라진 줄 알았던 불청객 '빈대'가 출몰한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되는 가운데 경기지역 숙박시설 등지에서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빈대 확산 방지를 위해 구성된 정부 합동대책본부(이하 대책본부)가 7일부터 빈대 발생 현황을 전국적으로 파악하고 대처한다.

대책본부는 전국 단위 빈대 현황판을 만들고, 광역 및 기초 지자체를 통해 빈대 출몰 사실 여부 및 의심 신고 건수, 대처 상황 등을 시설별·단계별·지역별로 보고받을 예정이다.

 

행안부 '합동대책본부' 출범
도내 고시원·숙박업소 불안
경기도 "예비비로 지원책 검토"

위생 취약시설 빈대 방제 비상
전국에서 사라진 줄 알았던 불청객 '빈대'가 출몰한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되는 가운데 경기지역 숙박시설 등지에서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울 한 쪽방촌 골목에 붙은 감염병 예방 안내문. 2023.11.5 /연합뉴스

그러나 이처럼 정부가 전국 단위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부천시와 안양시 등 도내 곳곳에서 빈대가 잇따라 출몰해 도민들의 불안감이 확산하는 모양새다.

실제 지난달 인천시 서구의 한 사우나에서 빈대 성충과 유충이 발견된 이후 해당 업체 관련 민원 7건이 잇따라 접수됐으며, 같은 달 부천의 한 고시원과 안양의 가정집에서도 빈대가 출몰했다는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용인시 기흥구에서 고시원을 운영하는 정모(70대)씨는 "빈대가 고시원에서 아직 발견되진 않았지만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대책을 연구하고 있다"며 "지자체에서 방제 요령과 약을 안내해주면 선제적으로 대응할 텐데 아무런 안내가 없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방역·방제업체를 찾는 고객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도내 한 방역·방제업체 관계자는 "빈대 관련 문의는 하루에 2번 이상은 꼭 들어오고 있는데 최근 공공장소에서 빈대가 나오면서 경각심이 생긴 것 같다"며 "숙박업소와 기숙사뿐만 아니라 원룸 자취방 등 공간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문의가 들어온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도는 재난대책본부를 꾸려서 계속해서 빈대에 대응하고 있었고, 오늘도 부지사님 주재로 시·군 단체장들과 빈대 대책을 논의했다"며 "향후 빈대 대책과 관련해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비비를 통한 빈대 대책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