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웅기-안성주재기자.jpg
민웅기 지역사회부(안성) 차장
2023년 대한민국은 현재, 극우와 극좌 성향을 가진 일부 국민들 간에 첨예한 대립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상황이 지속돼 국론분열로 이어질까 우려스럽다. 이들은 각자 자신의 성향에 맞는 이념과 행동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상대를 맹목적으로 공격할 뿐 아니라 증오와 혐오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됐다.

이러다 보니 어떠한 사건 발생 때마다 사안별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진영논리에만 생각에 갇혀 내편네편만 따지고 있는 실정이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이들은 심각한 '정치병'에 걸려 있는 것이다. 어느 나라나 극좌와 극우 세력은 항상 존재하지만 그 수가 중도층을 넘어서면 국론이 분열되는 위기에 봉착할 수밖에 없기에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이들의 극단적인 생각을 만류해야 할 지도자인 정치인들은 되레 이들의 생각이 행동으로 이어지게끔 부추기는 발언을 통해 자신과 정당의 지지도를 높이기 위한 도구로 악용하고 있으니 개탄스럽다.

그러기에 극좌·극우 성향의 국민들은 스스로 '정치병'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가치료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어려울 것 같지만 치료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정치에는 선악이 없다'는 점을 인식하자. 상대를 악으로 규정하고 바라보면 대화를 할 수 없다. 대화가 단절되면 타협도 없어지게 된다. 더 쉽게 예를 들자면 조정훈 국회의원의 말을 빌려 "아침에 일어나면 진보고, 밤에는 보수다. 어쩔 땐 아침엔 보수고 밤에는 진보다"라는 말 속에 치료법이 있다.

진영논리가 아닌 사안별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면 국민의 여론을 먹고 사는 정치인들도 함부로 갈라치기를 조장하는 일을 멈출 것이라 단언한다.

우리는 역사에서 교훈을 찾아야 한다. 임진왜란 발발 전 조선이 서인과 동인으로 갈라져 정쟁만을 일삼다가 국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결과 그 피해와 고통은 오롯이 국민이 온몸으로 감내해야 했던 아픈 역사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민웅기 지역사회부(안성) 차장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