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등 1인 점포를 표적으로 삼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치안 관련 전문가들은 1인 점포의 경비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 못지않게 '범죄 예방 디자인'을 통해 범죄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방 디자인' 범죄 사전차단 중요
'위협' 모든 행위 보복 범죄 처벌
공정식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CCTV와 경찰 신고 비상벨 설치 등 점포의 경비 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는 것을 알리는 표지판 등을 내·외부에 잘 보이도록 설치해야 한다"며 "'안전한 편의점을 만들어주세요' 등의 완곡한 표현만으로도 잠재적 범죄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부 교수는 "계산대에 칸막이를 두어 종업원을 보호하고, 점포 유리창 근처의 물건을 치워 밖에서 내부가 잘 보이게 하는 것도 범죄 예방의 한 방법"이라며 "범죄가 발생한 점포들을 분석해 공통점을 발견하고, 위험 점포를 선정해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1인 점포는 보복 범죄에도 취약할 수 있다. 가해자 또는 그의 가족이 다시 점포에 찾아오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건수 백석대 경찰학부 교수는 "가해자가 점포를 재방문하거나 주변을 배회하는 등 피해자에게 위협을 주는 모든 행위를 포괄적으로 보복 범죄로 규정하고 처벌해야 한다"며 1인 점포 대상 범죄에 대한 처벌 강화를 강조했다.
/정선아기자 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