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1201000511300024231.jpg

"환경 위한 다회용기 사용, 정부는 안 해도 경기도는 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의지를 통해 경기도가 도청 내에서 한 단계 높은 일회용품 퇴출 정책을 시행한다.

정부가 일회용품 사용 규제 시행을 사실상 무기한 연기(11월 8일 2면 보도=[경인 Pick] '일회용품 규제' 사실상 연기)해 후퇴한 환경정책이라는 비판을 받는 가운데, 정부의 기조와 달리 경기도가 청사 내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13일부터 청사에 반입되는 배달음식에 대한 다회용기 사용을 추진키로 한 것이다.

1회용 컵 반입 금지에 이어 사실상 경기도청 내에서 일회용품이 퇴출 되는 셈인데, 이같은 정책이 자연스레 민간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을 지가 성패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경기도의 다회용기 정책 확대에 따라 광교 경기도청사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배달음식을 주문할 경우에는 다회용기 포장을 요청해야 한다.

이번 사업은 지난 9월부터 광교·인계 지역의 음식점을 대상으로 다회용기 사용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는 수원시와 협업해 진행된다.

13일부터 배달음식 다회용기 사용 의무화
앱 수거시스템 구축·민간 확대 사업 상패

2023111201000511300024232.jpg
경기도청에 마련된 다외용기 수거함./경기도 제공

식사 후 청사 내에 설치된 수거함에 용기를 반납하고 앱을 통해 수거를 요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도 구축됐다.

경기도는 지난해 12월 '1회용 플라스틱 제로'를 선포한 후 청사 내 1회용 컵 반입 금지, 도-31개 시군 1회용 플라스틱 제로 공동선언 등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정책을 꾸준히 추진했다.

이번 배달음식 다회용기 사용으로 청사 내 일회용기는 사실상 모두 퇴출하는 결정을 내린 것이다.

최근 정부가 일회용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규제하는 정책을 사실상 철회한 가운데 도의 이번 결정은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강력한 의지의 표명이라 할 수 있다.

실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최근 정부 정책과 관련 "탄소중립, 기후위기 대응에 정부는 완전히 거꾸로 가고 있다"며 "정책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도 크게 해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11월 개정한 시행규칙을 갑자기 뒤집었다. 법령에 맞춰 준비해 온 지자체들은 행정력을 낭비했다. 소상공인들 사이에서는 '준비한 사람만 바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경기도는 연말까지 시범운영을 통해 소상공인 애로사항 등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해, 내년 1월부터 청사 내에 배달되는 음식물에 대한 다회용기 사용을 전면 시행할 계획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