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에 시중은행 통폐합 중단
폐점 따른 지역 서비스 공백 여전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비대면 금융거래 증가로 은행이 점포를 하나둘 폐쇄하자 취약계층이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가운데(4월 20일자 12면 보도=경기도 금융기관 지점수 감소세… 노인을 위한 은행은 없었다), 금융당국이 강력한 규제를 시행하면서 은행 점포 폐쇄 흐름에 제동이 걸린 모양새다. 은행권이 금융 서비스 공백을 메우기 위한 대안으로 특화점포 등을 내놨지만 대체로 서울시에만 몰려 있어 경기도의 금융 서비스 공백은 여전한 상황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하반기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영업점 통폐합 계획은 0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은행은 지점 통·폐합 3개월 이전에 사실을 공지해야 하지만 지난 7월 이후 관련 공지는 없었다. 경기지역 기준 4대 시중은행의 경기지역 지점은 2020년 3월 685개에서 지난 6월 561개로 124개나 줄었다. 올 상반기에만 해도 17개가 감소했지만(578개→561개) 하반기엔 사실상 점포 폐쇄는 없을 전망이다.

은행들이 점포 폐쇄를 멈춘 이유는 금융당국이 지난 5월부터 시행한 '은행 점포 폐쇄 관련 공동 절차' 개정안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해당 개정안은 점포 폐쇄 결정 전 실시하는 사전영향평가 항목을 강화했다. 또 폐쇄 시엔 공동 점포 등 대안을 마련토록 했다. 이에 비대면 영업 활성화와 비용 절감 측면에서 금융기관들이 오프라인 점포를 폐쇄하던 흐름에 제동이 걸렸다.

강력한 제재로 일단 급한 불은 껐지만, 점포 폐점 지역에서 금융 서비스 공백은 여전히 나타나는 상황이다. 은행권은 고령층 등 취약계층을 위한 특화점포를 신설하는 등 상생 금융을 외쳤지만, 경기도에선 운영되고 있지 않다. 

국민은행은 노인복지센터를 매주 1회 방문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KB시니어라운지'를 서울시 내 5개 자치구에서, 우리은행은 고령층 특화점포 '시니어플러스 영업점'을 서울시 3곳에서 운영하고 있다. 신한은행의 '고객중심 점포' 6곳도 서울시에만 있다. 그나마 디지털 금융을 쉽게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금융 교육센터 학이재는 인천시에 위치해 있다. 같은 수도권이지만 경기도를 위한 이렇다할 상생 금융은 없는 셈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시작한 특화점포는 서울에서 먼저 운영하고 있다. 다른 지역에서도 운영할 계획은 하고 있지만 아직 확정되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특화점포를 전국적으로 운영하고 금융 서비스 공백이 나타나는 지역엔 공동점포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공동지점은 전국에서 5곳만 운영 중이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점포 폐쇄와 관련) 금융당국의 규제가 효과가 있었다"며 "취약계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 특화점포를 운영하고 공동점포도 늘릴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