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0일 오전 남양주시에서 열린 2023년 4분기 북부 기우회 정례회에 참석했다./경기도 제공


2008년에도 똑같은 일이 벌어졌다. 서울에서 뉴타운 공약해서 속된 말로 엄청 선거에서 재미보고 선거 끝나고 거의 유야무야됐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최근 정치권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김포시 등 경기 지자체 서울 편입 논란을 정치적으로 해석할수밖에 없는 이유로 이같이 설명했다. 20일 경기 북부지역 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을 만난 자리에서 비판 목소리를 이어간 것인데, 이와 더불어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이하 경기북도) 설치 필요성을 강조하며 행정안전부가 검토 중인 주민투표가 내달 안으로 결론이 나도록 지지를 호소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오전 남양주시에서 열린 2023년 4분기 북부 기우회 정례회에 참석해 “메가시티는 서울을 줄이고 지방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충청권, 광주 호남권, 부울경, 대구와 경북처럼 서울 같은 지방을 여러 개 만들겠다는 메가시티의 본래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서울 일극화를 하고 서울 확장해서 서울 메가를 하겠다고 하니까 이런 표현을 써도 될지 모르겠지만 기가 막힐 노릇이다. 거꾸로 하고 있다. 서울은 이미 메가시티”라고 여당이 당론으로 추진 중인 메가시티 서울을 지적했다.


이어 “지난 30년 가까이 대한민국이 끌어왔던 국토 발전에 대한 가장 상위 비전은 국토균형발전, 지방분권, 지방자치다. 김대중 대통령 이래 면면히 이어왔지만 소위 보수 정부 대통령도 다 똑같이 하신 말씀”이라면서 “서울 메가시티를 당론화하겠다고 한 그날 (윤)대통령께서는 대전에서 균형발전과 자치에 대한 대회에서 지방시대를 주장했다. 세상에 이런 코미디가 어디 있나?”라고 꼬집었다.


앞서 지난 2일 윤석열 대통령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회 지방자치 및 균형발전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중앙정부는 쥐고 있는 권한을 지역으로 이전시킬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특히 김동연 지사는 ‘정치쇼’와 같은 메가시티 서울과 달리 경기북도 설치는 오랜 시간을 투자한 정책이라며 지지를 요청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이 경기북도 설치 관련 주민투표에 500억원 예산이 필요하다며 난색을 표한 것에 대해서도 “(저는) 600조 넘는 정부 재정을 다뤘던 사람이다. 그 돈 쓰라고 하겠다. 그 돈의 100배, 1,000배, 10,000배 돈 벌어드리겠다. 북부발전을 위해서 목소리를 내자”고 힘줘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북도는 비전과 전략수립, 주민의견 수렴, 도의회 의결까지 다 거치고 마지막 단계로 주민투표만 남아 있다”면서 “12월 중순까지만 결론 난다면 2월 안에 주민투표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함께 힘을 보태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주민투표가 이뤄지고 만약 (경기북도 설치가) 성사가 된다면 분명히 말씀드리는 건데 혼신의 힘을 다해 경기북부를 발전시키겠다”면서 “정치적인 것과 아무 상관 없다. 북부의 인력 자원과 보존된 생태와 잠재력은 대한민국 그 어디보다도 가장 크다고 확신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