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 전경./ 경인일보 DB

인천공항을 오가는 항공기 다수에서 병원균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다른 공항 대비 인천공항 비중이 가장 컸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7월 31일부터 11월 14일까지 항공기 기내 위생을 점검한 결과 493편의 항공기 중 58편에서 장독소성대장균, 장병원성대장균, 장염비브리오, 살모넬라균 등 다수의 병원균이 발견됐다고 27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해외에서 국내로 입항한 항공기에 검역관이 직접 타 위생상태를 점검하고 가검물을 채취해 분석했다. 이번 점검은 해외 여행을 하는 국민들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여행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3개월간 국제선 직항기 중 493편을 선정해 기내 가검물을 채취해 콜레라와 장내세균 10종에 대한 검사를 진행했다. 인천공항은 222편의 항공편 중 22.1%인 49편의 항공편에서 병원균이 검출돼 비중이 가장 높았다. 김해공항과 대구공항은 검출률이 3% 안팎에 불과했다. 제주공항에서는 병원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질병관리청은 병원균이 검출된 항공기의 항공사에 검사결과를 통보하고 소독 협조를 요청했다.


또 항공기 탑승객과 승무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항공기 내 검사장소와 검사항목, 대상 항공편 수를 단계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후 그 결과를 공표해 항공기 위생 수준 향상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국제선 항공편 수가 평시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다”며 “해외여행이 급증하는 점을 고려해 항공기 내 위생관리를 보다 철저히 해 국민들이 건강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