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흥화력 단계별 폐쇄 등 요인
활용 계획·지역 혜택 집중해야


조공장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인천 해상풍력 발전사업은 원자력발전소 5곳에 달하는 대규모 에너지를 생산하는 계획으로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파급력을 가질 겁니다."

조공장(사진) 한국환경연구원 녹색전환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29일 "인천은 산업시설이 집적해 있고 영흥화력발전소 단계별 폐쇄, 수도권 전력 수요지 인접성 등 여러 측면에서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추진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조 연구위원은 산업통상자원부의 공공주도 해상풍력 적합 입지 발굴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 사업은 공공이 해상풍력 입지를 선정한 뒤 민간이 후보지에서 단지개발 사업을 하는 것이다. 조 연구위원은 어민, 주민들과 소통 과정을 거쳐 공공주도 해상풍력 적합 입지를 선정하는 업무를 담당했다.

조 연구위원은 "기존 민간 주도 해상풍력 사업은 지역사회와 합의 없이 추진돼 여러 문제점이 발생했다"며 "공공주도 해상풍력 사업은 초창기 입지 선정 단계부터 이해당사자들과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말했다.

조 연구위원은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전기를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산된 전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단순히 에너지 생산 차원에서 접근하지 말고 지역 산업, 경제, 관광, 교육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해 종합적인 활용 계획안을 구상해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조 연구위원은 "현재는 해상풍력 발전 사업 입지 선정, 발전소 건립에 필요한 절차에만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지역에서 생산된 해상풍력 에너지를 활용하는 계획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자체 도시기본계획 등 상위 계획에 해상풍력으로 생산한 전기를 활용하는 내용을 담아 지역사회에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방안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