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인천 61.4%·경기 69.9% 그쳐
전국 17개 시·도 평균 크게 밑돌아
"정부·지자체 제도 지원책 마련을"
경기인천기계협동조합, 판로 요청


지방자치단체와 시·도교육청 등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제품 구매를 확대하는 공공구매제도가 있지만 인천·경기지역 실적은 타 지역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인천기계공업협동조합은 인천시와 경기도에 판로 확대를 요청하고 나섰다.

3일 경기인천기계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인천시는 연간 총 구매액 7천161억원(2022년 기준) 중 4천396억원(61.4%)이 중기 제품으로 전국 17개 시·도 평균(78.7%)보다 17.3%p 낮다. 전국 공공기관의 평균 중기 제품 구매 비율(75.5%)과 비교해도 인천시의 중기 물품 구매 성과가 크게 떨어지는 점을 알 수 있다. 경기도는 전국 시·도 중 서울, 제주에 이어 3번째로 물품 구매액이 높은 9천23억원이지만 중기 제품 구매액은 6천306억원(69.9%)에 그쳤다.

중기 제품 구매 비율이 낮은 건 교육청도 마찬가지다. 경기도교육청은 2조9천686억원 중 2조3천924억원(80.6%)으로 전국 17개 교육청 중 16위다. 인천시교육청의 중기 제품 구매 비율은 85.8%로 경기도교육청보다 높지만 전국 평균치에 머물러 있다.

중소기업 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판로지원법)은 국가(지방)계약 법령보다 우선 적용된다. 공공구매제도는 '중소기업자간 경쟁' '공사용 자재 직접(분리) 구매' '중소기업제품 구매 목표 비율' '소액수의계약 대상업체 조합 추천', '중소기업자 우선 조달', '소기업 제품 우선 구매' '중소기업 기술개발 제품 우선 구매' 등 12개 제도가 운영 중이다.

인천시 중소기업협동조합 육성 조례는 시와 산하 공공기관이 판로지원법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중소기업협동조합을 통한 판로 확대에 노력해야 한다고 돼 있다.

 

허예회 경기인천기계협동조합 이사장
허예회(사진) 경기인천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인천시와 경기도의 모든 공공 기관이 구매력을 활용해 중소기업 제품 구매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면서 "중소기업 업계의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제도에 대한 관심과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기인천기계협동조합은 1962년 중소 기계 공업체 권익 대변 기관으로 출범했다.

인천시가 광역시로 분리되기 전인 당시 경기도 제1호 협동조합으로 인가받았다. 현재 냉동공조, 무대장치, 수처리 펌프, 식품가공, 재활용 등 293개 기업이 조합원사로 등록돼 있다. 조합원사 연간 생산 매출 총액은 2조335억원, 근로자 수는 8천546명이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