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 중장기 발전방안 마련
軍→지역 중심·관광산업 모색
미래가치 발굴 전담기구 필요
행사 확대 국비 확보가 '관건'
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을 지역이 주도하는 '국제행사'로 격상하기로 한 가운데 이 행사의 구체적 발전 방향을 담은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인천시는 내년 초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 시행할 예정이다.
인천연구원은 5일 기획연구과제 '9·15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 중·장기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을 국제행사로 격상하는 실행방안을 마련하고자 인천시 의뢰로 진행됐다.
지난 9월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 '제73주년 기념행사'는 국방부가 주최하고 해군본부·인천시가 주관하는 형태였다. 국방부(군) 중심으로 행사가 진행되면서 '승전'에만 초점이 맞춰졌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추진 주체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구를 주도한 남근우 인천연구원 도시사회연구부 연구위원은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은 전승과 보여주기식 퍼포먼스보다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한 이들에 대한 예우를 강조하는 행사가 돼야 국민과 시민의 호응과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관광산업·지역경제 활성화로 연결시키기 위해선 인천시와 기초자치단체, 인천관광공사 등이 공동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인천연구원은 가칭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 추진단(위원회)' 구성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현재 인천시에서는 총무과가 인천상륙작전 사업 전반을 담당하고 있다. 인천연구원은 점점 확대되는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의 규모를 비롯해 인천상륙작전 관련 역사문화자원 인프라 관리, 프로그램 기획·운영 등을 담당하기에 총무과로는 한계가 있다고 봤다.
남근우 연구위원은 "정권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만들기 위해선 인천상륙작전의 미래가치를 발굴하고 (행사에) 담는 게 중요하다. 이런 역할을 하는 게 전담 기구"라며 "인천시장 직속기구로 할지, 별도의 출연기관으로 할지 등은 추후 논의할 문제"라고 했다.
인천시는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을 참전국 주요 정상을 초청하는 국제행사로 격상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올해부터 행사 규모를 대폭 확대하는 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는 인천연구원의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초께 인천상륙작전 관련 중·장기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다만 국비 확보 등 예산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기념사업비 규모를 지난해 2억원에서 올해 27억3천700만원(국비 19억8천만원, 시비 7억5천700만원)까지 대폭 늘렸다. 하지만 내년도 국비는 인천시 요구액(20억원)보다 크게 낮은 2억원만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상태다. 시비는 11억2천만원으로 편성돼 시의회 심의를 받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등 국비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