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산학협력단 분석
서울, 통역센터와 전문교육 분리
인천시, 통역사가 교육까지 병행
복지기관도 없고 배울곳도 없어
생애주기별 교육 받을곳 늘려야
수어 교육 기관과 관련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
인천시 의뢰로 '점자·수어 사용 실태조사 및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진행한 인천대 산학협력단은 "인천의 전체 등록장애인 중 청각장애인 비율은 18%로 지체장애인(44.5%)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며 "그에 비해 청각장애인 관련 교육 시설과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인천대 산학협력단이 지방자치단체별 '한국수어진흥사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 17개 시·도 중 12곳은 수어 교육사업과 수어통역센터 운영 사업을 분리해 추진한다. 반면 인천은 인천시수어통역센터가 수어교육까지 병행하고 있다.
인천시수어통역센터 본부의 전체 인력(17명) 중 수어통역사는 8명. 그 외에 지회(사무소)는 전체 인력 5~6명 중 1~2명의 수어통역사를 두고 있다.
서울시수어통역센터의 경우 25개 자치구별로 수어통역센터가 별도로 설치돼 있는 건 물론이고, 인력 역시 인천과 차이가 난다. 서울시수어통역센터 본부의 전체 인력(25명) 중 수어통역사는 14명이다. 서울시는 또 수어통역센터와 수어전문교육원을 분리하고, 수어통역사와 수어교육 강사 역시 구분해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은 인천시수어통역센터에서 근무하는 수어통역사가 수어통역과 수어전문교육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수어통역과 수어전문교육 운영에 한계가 생길 수밖에 없다.
연구를 총괄한 전지혜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인천은 수어통역사가 통역과 교육을 함께 담당해 물리적으로 한계를 겪고 있다"며 "수어통역사를 양적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고 했다.
수어 교육 관련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천대 산학협력단이 인천 거주 청각장애인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수어 교육에 필요한 지원'에 대한 질문에 26.5%의 응답자가 '수어 전문 교육 시설 설치'를 택했다. '수어 관련 전문인력 양성'이 19.3%로 뒤를 이었고, '청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수어 교육 능력 개발(16.9%)', '쉽게 배울 수 있는 수어 교육 개발(13.3%)'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전지혜 교수는 "인천에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복지관조차 없다. 알음알음 수어를 배울 곳도 부족한 것"이라며 "학령기, 성인기 등 생애 주기별로 수어를 교육받을 수 있는 기관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