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통한 사업화 실적이 다른 특별시·광역시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자 개발 기술의 보유·이전으로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12일 인천연구원이 발표한 '인천시 성과 확산을 위한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을 보면 인천에서 진행된 국가 연구개발 사업 결과가 사업화로 이어진 실적은 2021년 기준 600건으로 전체(2만1천519건)의 2.79%였다. 7대 특별시·광역시의 사업화 실적은 서울(2천927건·13.60%), 대전(1천918건·8.91%), 부산(1천157건·5.38%), 광주(1천48건·4.87%), 대구(1천20건·4.74%) 순으로 높았다.
같은 해 기술이전 수입 기준 상위 5개 대학은 연세대,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 아주대, 경희대 순이었다. 이중 경기도 수원에 있는 아주대는 변리사 1명, 기술거래사 4명이 포함된 기술사업화팀을 운영한다. 2021년 '아주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를 설립해 유망 기술 사업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인천 지역 대학의 기술이전 수입 순위는 인하대 24위, 인천대 56위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연구개발 활성화 사업 관리지침'에 따라 연구 개발 지원 사업을 벌인다. 기업이 원래 보유한 기술을 바탕으로 시제품을 제작하고 마케팅을 벌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분야의 참여도가 높은 반면 기술이전 등 기술사업화에 대한 지원율은 낮은 편이다. 또 기술사업화 주관 기관이 인천테크노파크, 인천상공회의소등으로 분산돼 있어 '중복 지원'이 발생하기도 한다는 게 인천연구원의 분석이다.
인천연구원은 '연구개발 사업과제 통합 관리', '대학 공동 연구실 지원'과 함께 산·학·연 연계형 기술사업화 체계 구축을 제언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
'기술사업화' 성과 저조한 인천… 인천연구원, 과제 통합관리 등 제언
입력 2023-12-12 19:49
수정 2023-12-12 19:49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12-13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