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속 솟아오른 '희망의 중소기업'
道, 2008년~올해까지 1744억 지원
정부 R&D 투입 예산 삭감 기조속
'기술강국' 목표 과감한 투자 진행
위기의 경제 상황 속 기업은 기술혁신으로 돌파구를 찾는다. 클라우드 컴퓨팅, 바이오·헬스케어, 전기차 등 미래 성장산업 기업들은 끊임없는 혁신과 연구개발(R&D)을 동력으로 생존을 모색한다.
경기도 역시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난 2008년부터 경기도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혁신기술을 보유한 도내 기업을 발굴, 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한 신제품개발과 사업화를 돕고 있다. 16년 동안 이어진 기술개발사업은 경기도를 대표하는 R&D 사업으로 큰 발자취와 많은 성과를 남겼다.
■ 중소기업 혁신의 기회 제공하는 기술개발사업
=경기도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함께 매년 공모와 평가를 통해 기술개발과제를 선정하고 과제당 1억5천만원을 지원한다. 혁신 기술개발을 지원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자는 취지다.
경기도는 2008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1천744억원의 예산을 지원했고 4천844건 접수과제 중 1천52건에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했다. 한국 전체 벤처기업의 30.4%가 몰려있고 제조업체의 36%가 집적한 경기도 기업의 혁신은 곧 한국경제의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 녹록지 않은 R&D(기술개발)의 현실
=판교테크노밸리를 비롯해 광교테크노밸리, 신규 추진되는 반도체 클러스터까지 가히 첨단산업분야의 총아라 할 수 있는 경기도지만 장밋빛 현실은 아니다.
2020년 정부 R&D 예산 총액 23조8천억원 중, 경기도에 투입되는 비중은 전년대비 2% 줄어든 10.5%인 2조5천611억원에 불과했다. 그 중 도내 중소기업에 투입되는 정부 R&D자금은 전체 정부 R&D예산의 3.8%에 불과할 정도로 턱없이 부족하다.
수도권 소재 기업에 R&D 예산이 배정되지 않는 수도권 역차별 속에서 경기도기술개발사업과 같은 자체 지원 사업은 경기도 중소기업에겐 가뭄의 단비였다.
■ 봄에 심어야 가을에 추수할 수 있다는 단순한 진리
=첫 시행이었던 2008년 138억원 규모로 편성된 경기도 기술개발사업은 2010년 210억원까지 증액됐다가 2017년까지 줄곧 하향세를 탔다. 경기도 예산 사정에 따른 축소 반영이었다.
2018년부터 조금씩 증액되기 시작했고, 일본의 반도체 규제 즉 경제침략에 대응할 필요가 있었던 시기에는 소재·부품·장비 전용 R&D로 100억원을 추경 편성하는 등 기술강국을 이끌어가기 위한 투자가 이뤄졌다. 다만 내년은 세수 감소로 확대 편성이 어려운 실정이다.
올해에는 지난해 대비 10억원 줄어든 예산이지만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시군 매칭 참여를 진행했고, 가평과 고양 등 6개 시군이 여기 참여해 외연 확대와 성과 확산을 도모했다.
김현대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국장은 "내년 정부 R&D예산이 삭감 기조지만 경기도는 미래성장산업 분야 육성을 위한 R&D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혁신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도내 기술기반 기업들의 연구개발과 성장을 돕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는 일에 경기도가 앞장서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