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 Pick] 효용성 앞세워 '최적화' 평가


도민 출퇴근 신분당선·광역버스… 개통 앞둔 GTX에도 적용 '눈길'
"저소득층 지원·기후위기 대응… 전국 어디서나 혜택 가능" 자신감


경기패스.jpg
사진은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교통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질의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내년 하반기부턴 경기도와 서울이 교통복지 사업을 두고 한판 경쟁을 벌이게 된다.

효용성의 차이는 시작이 돼야 드러나겠지만, 경기도는 'The(더) 경기패스'에 대해 "기후동행카드는 지역적·교통수단의 한계가 있는 것과 달리, 더 경기패스는 경기도민이 제주도 버스 등 전국 어디서나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혜택을 볼 수 있다"며 성공에 자신감을 표하고 있다.

서울시 내년 시범사업을 앞둔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정부의 'K-패스' 사업을 기반으로 하기에 경기도민 대중교통 이용 특성상 더 경기패스의 혜택이 더 크다는 점을 짚은 것.

경기도는 13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1층 비전실에서 '경기도 교통국장 주재 31개 시·군 과장급회의'를 열었다. 경기도가 시행을 앞둔 더 경기패스 사업 내용을 전달하고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확대 시행 등을 공유하기 위해서다.

이 자리에서 김상수 교통국장은 "교통비 지원정책의 목적은 소득이 부족한 교통약자에 대한 지원 목적이 있고 자가용을 이용하는 수요를 대중교통으로 전환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것이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모든 교통수단에 사용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생각한다. 이러한 측면을 보면, 더 경기패스는 월등한 교통비 지원 정책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내 지하철과 버스, 공공자전거인 따릉이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더 경기패스는 도민이 주로 출퇴근에 이용하는 신분당선 및 광역버스는 물론 앞으로 개통될 GTX 등에도 적용된다는 게 최대 장점이자 차별화되는 요소다.

모든 교통수단에 적용되는 만큼, 더 경기패스가 교통비 지원 정책 목적을 실현하기에 더 최적화됐다는 평가가 나오는 지점이다.

최근 경기도 지자체 서울 편입 주장 등 정치적 이유로 서울시 기후동행카드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지자체가 나오는 데 대한 우려도 있다. 이에 경기도는 도민에게 실질적으로 돌아가는 혜택 등을 적극적으로 알린다는 방침이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2023121401000235500017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