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 앞두고 소회 밝힌 염태영 경제부지사


그간 중기·소상공인 가교역할 톡톡
정부 재정건전성 기조에는 '우려'
서울편입 메가시티 왜곡 "표퓰리즘"


3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14일 경인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경제위기 극복은 물론, 경기도의회·정부와의 협력으로 민생을 우선 살피는 따뜻한 혁신과 세심한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2023.12.14 /경기사진공동취재단

"경기도 단위의 경제운용. 미래성장 전략에 대해 정부와 협의하며 많은 것을 배우고, 성과를 만들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했던 소중한 시간."

민선 8기 경기도의 첫 시작을 함께하며 쉼 없이 약 1년4개월을 뛰어온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퇴임을 앞둔 소회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염태영 부지사는 취임 당시 더 넓게 연대하고 더 깊게 소통해 경제위기를 극복하겠다 다짐한 만큼, '기발한 기업현장 맞손토크' 등 현장에서 직접 기업의 어려움을 듣고 경기도 정책과 지역 중소기업, 소상공인간 가교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염태영 부지사는 14일 경인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제 다짐에 후회 없이 일할 수 있어 행복했고 수원시장 때와 비교하면 더 많은 권한, 다른 역할을 경험할 수 있어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의 민선 8기 경기도정을 "디딤돌을 놓은 시간"이었다 표현하며 임기 반환점인 내년 7월부터는 본격적인 정책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자신했다.

염태영 부지사는 경기도의 경제위기 극복은 물론, 경기도의회·정부와의 협력도 담당했다. 그는 민생경제의 어려움을 걱정하며 현 정부의 정책기조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염 부지사는 "지금 민생위기가 심각한데, 정부는 재정건전성만 외치며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 경제를 읽는 눈이 지극히 타당하지 않은 것"이라며 "경기도는 확대재정에 나서 소상공인을 위한 지역화폐 예산을 증액했지만, 정부 예산안에서 전액 삭감됐다.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빼앗는 것은 바로 잡아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현재 모든 문제의 근본 원인으로 '정치'를 꼽았다. 견제와 균형 없이 정부에 권한이 쏠린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검찰권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부 운영 시스템을 꼬집었다.

김포시의 서울 편입만 해도, 수도권 일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메가시티 개념을 왜곡하고 총선을 앞두고 급하게 꺼내든 '표퓰리즘'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서울 편입에 따른 불이익은 생각하지 않고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환상, 욕망의 부추김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정권을 이런 식으로 운영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염태영 부지사는 내년 총선 출마가 예정돼 있다. 그는 출마에 대해서는 "기득권화됐던 권력기관을 시민기관으로 돌려주고 행정이 제 모습을 찾도록 하고 싶다. 국민 눈높이에 맞춘 정치를 하도록 하는 것이 저의 정치적 소명"이라며 "지역은 당연히 태어나고 자란 수원이나, 현 지역구 국회의원과 논의해 저를 필요로 한 곳에 갈 생각"이라고 부연했다.

끝으로 염태영 부지사는 후임 경제부지사를 향해, 경제부지사는 '먹고 사는 문제'를 고민하고 대안을 찾는 자리라며 경제와 사람을 중심에 둔 도정 기조가 현장에 뿌리내리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염태영 부지사는 "경기도는 대한민국 4분의 1이나, 경제로는 3분의 1 수준이다. 대한민국 성장동력으로의 책임성과 역할, 민생을 우선 살피는 따뜻한 혁신과 세심한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며 "또한, 도의회의 협조를 구하고 도지사의 정무적 판단을 돕는 정무적 역할도 아울렀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