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자체 '서울 편입 논란' 호평… 고향사랑기부제 졸속 보도 미흡해
지속가능한 도시 해외사례 많이 담아내 눈길
'무인점포 절도 중독 습관' 사회적 관심 유도
주류가격 인상 서민 체감 물가 영향도 다뤄야
경인일보는 지난 11월 지면을 평가하는 독자위원회를 비대면으로 진행했다. 황의갑(경기대학교 교수) 위원장, 김민준(성남시 청년정책협의체 위원), 유혜련(법무법인 정직 변호사), 조용준(수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 김명하(안산대학교 교수) 위원이 참여했다.
위원들은 연이어 보도된 <경기 지자체 '서울 편입' 논란>에 호평을 내렸다. 김민준 위원은 <[경인 WIDE] '서울 편입 논란' 여론에 답이 있다>(11월13일자 1·3면 보도)에 대해 "여론을 봐도 호의적인 반응을 얻기가 어렵다는 것을 잘 보여준 기사였다고 보며, 해당 이슈가 왜 득보다 실이 큰일인지 법적인 권한과 인프라의 차원에서도 분석한 점 역시 유효한 지적으로 보인다"면서 "선거철이 아닐 때 논의해도 협의가 어려운 첨예한 사안을 선거가 다가오고 나서야 이슈화가 된다는 점이 해당 사안을 진지하게 다룰 생각이 없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아닐까 싶다"고 했다.
조용준 위원은 <서울 인접 지역들 '혐오·기피시설' 떠안나>(11월2일자 1면 보도)에 "혐오·기피시설 폭탄돌리기의 종착역이 서울 편입 논란의 지자체가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예리하게 전달했다"며 "졸속으로 발표한 경기 지자체의 편입 논란과 관련하여 문제점과 한계를 잘 지적한 기사"로 평했다. 황의갑 위원장은 일련 보도들에 대해 "국면전환용으로 의심을 받지만 지역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를 매우 시의적절하게 여론 동향을 살피고 정책 지향점을 제시했다"면서 "현실의 한계를 설득력 있게 제시하면서 향후 방향성까지도 짚었다는 점에서 지역 정론지로서 매우 큰 역할을 한 고무적인 내용으로 생각한다"고 총평을 내렸다.
두 달 동안 연재된 <도시는 사람이 쓴다> 기획보도도 호평을 받았다. 김민준 위원은 "도시의 기능과 중요성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기획기사로, 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한 해외사례를 풍부하게 담아낸 점에서 우리가 적용할 점은 무엇인지 적절하게 전달했다"면서 "도시는 결국 사람이 사는 공간이고, 사는 사람이 만드는 공간이라는 점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핵심 주제가 인상적이다"라고 평했다.
이 밖에도 다양한 평가가 이어졌다. 김명하 위원은 <'장애인교원지원 예산' 99%가 의무고용 미달 부담금>(11월20일자 7면 보도)에 대해 "경기도교육청이 장애인교원지원 예산에 장애인 의무고용비율을 채우지 못해 내는 법정부담금을 포함시켰고 그 비율이 무려 99.8%를 차지한다는 뉴스는 충격적이었다. 현실을 반영 못한 정책도 문제고 관행적으로 예산을 집행한 행정부도 문제고 소수자에 대한 부족한 사회적 관심도 문제"라면서도 "다만 행정감사에서도 공론화되는 듯했으나 후속 보도가 없어 아쉬웠다. 지속적으로 관심 갖고 보도해 주길 요청드리고, 언론의 관심에 따라 이 사안이 어떻게 개선되어 가는지도 지켜보고 싶다"고 밝혔다.
유혜련 위원은 <'상습 절도' 알고보면 '중독 습관'… 무인점포 가해자 69.4% '재범'>(11월16일자 7면 보도)에 대해 "반복적으로 같은 범죄를 저지르는 상습절도범들이나, 상습무전취식 전과자들은 실제로 출소 후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사회생활 부적응으로 인해 자포자기의 심정으로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그런 상황을 잘 담은 기사"라며 "중독습관이나 사회부적응으로 인한 재발범죄에 대한 사회적비용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 형사처벌 외 전문치료 등 사회적 관심이 필요할 것"이라고 짚었다.
다만 아쉬운 평가도 있었다. 조용준 위원은 <1년만에…희미해지는 '고향사랑기부제'>(11월28일자 1면 보도)에 대해 "졸속, 급속 추진의 멍에를 쓰고 출발한 고향사랑기부제의 1년을 점검한 기사인데, 지난 성과가 기대보다 못했다면 그 원인을 찾고 지속 추진할지 아니면 발전적으로 중단할지에 관한 내용이 생략되어 아쉬움이 남았다"고 했다.
또 <술이 오른다, 더는 못 마시겠다>(11월9일자 12면 보도)에 대해서는 "주류 가격 인상에 관하여 원가 인상에 따른 조처라는 기사인데 이 정도는 일반 독자들도 알 수 있는 내용"이라면서 "주류 업체가 50~100원 인상할 때, 식당이나 술집은 왜 1천원씩 인상하는지 등에 관하여 심도 있게 다루고, 이런 가격 인상이 서민 체감 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다루었으면 더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들었다"고 했다.
김명하 위원은 <'시간제보육 기관' 연천, 포천, 가평엔 한 곳도 없다>(11월24일자 5면 보도)를 비롯한 영유아 관련 돌봄정책을 다룬 기사들에 대해 "기사들의 공통점은 자녀가 영유아임에도 부모의 직접 양육보다는 기관 등 가정 외부 돌봄을 전제로 한다는 것인데, 저출생 원인 중 하나는 자녀양육과 노동 병행이 어려운 직장 문화에 있음에도 양육 중심 노동환경의 부재로는 전혀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초저출생으로 국가소멸까지도 논의되는 마당에 저출생의 가장 큰 해법이 될 양육중심 직장문화와 노동환경 구축이 논의되어야 한다"고 짚었다.
/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