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月 8만 → 작년말 26만원대
자녀 학비 보조·보건 비용 가장 커
기업이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각종 복지 혜택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가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복지는 좋아지는 반면 중소기업 복지 혜택은 오히려 축소되면서 지난해 기준 300인 미만 기업체의 근로자 1인당 복지비용은 300인 이상 기업체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2022 회계연도 기업체노동비용 조사 결과에서 상용 근로자 10인 이상 기업체가 근로자 1인에게 쓰는 '법정 외 복지비용'은 월 24만9천600원이었다. 법정 외 복지비용엔 기업체가 직원들의 식사비, 교통·통신비, 건강·보건비용, 자녀 학비 보조, 사내근로복지, 주거비용, 보험료 지원금, 휴양·문화·체육 등의 명목으로 쓰는 비용이 포함된다.
복지비용은 기업체 규모별로 격차가 컸다. 지난해 말 기준 300인 미만 기업체의 복지비용은 근로자 1인당 월 13만6천900원으로, 300인 이상 기업체 40만900원의 34.1%에 그쳤다. 특히 격차가 큰 것은 자녀 학비 보조비용과 건강·보건비용으로, 300인 미만 기업의 자녀 학비 보조 비용(월 4천900원)은 300인 이상(3만6천200원)의 13.5%에 그쳤고, 건강 보조 비용도 14.7% 수준이었다.
이 같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복지 격차는 더 벌어지는 추세다.
10년 전인 2012 회계연도의 경우 300인 미만 기업의 근로자 1인당 복지비용은 월 16만3천원으로 300인 이상(25만500원)의 65.1% 수준이었다.
2012년에는 두 그룹 격차가 월 8만7천500원이었던 것인데 지난해 말엔 26만4천원으로 3배 늘어난 것이다.
대기업 복지는 계속 좋아지는 데 비해 중소규모 기업체의 복지는 오히려 후퇴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300인 이상 기업의 근로자 1인당 법정 외 복지비용은 2012년 이후 10년간 60% 증가한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의 복지비용은 16만3천원에서 13만7천원으로 오히려 16% 줄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
대기업-중소기업 복지 격차, 10년새 3배 늘었다
입력 2023-12-25 20:00
수정 2023-12-25 2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12-26 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