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경기도사회조사 결과
'서울 출근' 과천 50.1·광명 46.9%
인접한 지자체일수록 비중 높아
1시간7분 소요 평균보다 1.7배 ↑
'도내 타지역 근무' 오산·의왕 순
"과천 시민 절반은 서울로, 오산시민 절반은 경기도 타 지역으로 출근을?"
'2023년 경기도사회조사' 결과 경기도민의 출근 시 평균 소요 시간은 39분이며, 서울로 출근은 1시간7분으로 평균 출근 시간의 1.7 배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내 다른 시군으로 출근 비중이 높은 곳은 오산(47.5%), 의왕(44.7%), 군포(38.5%)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로 출근은 과천(50.1%)이 가장 높고, 광명(46.9%), 하남(45.9%), 구리(42.2%) 순으로 서울과 인접한 지역일수록 비중이 높았다.
경기도는 지난 9월 1일부터 15일까지 도내 3만1천740가구 내 15세 이상 6만2천257명을 대상으로 복지, 주거와 교통, 문화와 여가, 교육, 소득과 소비, 일자리와 노동 등 6개 부문에 대한 사회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15세 이상 도민 10명 중 6명이 출근을 하고 있으며 출근 지역은 거주하고 있는 시군이 54.5%로 가장 많고, 도내 다른 시군 21.4%, 서울 20.3% 순으로 조사됐다.
출근 시 평균 소요 시간은 39분이었으며 거주하는 시군 내 출근은 평균 24분이었다. 경기도 내 다른 시군은 48분, 서울로 출근은 1시간7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래프 참조

연령대별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거주 시군으로 출근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서울로 출근은 30대(25.2%)가 가장 많고, 20대(23.7%)가 뒤를 이었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거주하는 시군 내로 출근하는 비중이 높은 곳은 연천(89.4%) 여주(86.3%), 가평(85.8%) 순이었다. 반면 오산과 과천 등은 인근 지자체나 서울로의 출근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출근 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승용차(54.1%)였으며, 대중교통 이용은 31.4%(버스 18.3%, 전철·지하철 13.1%)로 조사됐다. 대중교통(버스+전철) 이용률이 높은 시군은 과천(50.4%), 성남(46.8%), 광명(45.7%), 안양(44.2%), 부천(42.4%)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0대(75.2%), 20대(53.5%)는 버스, 전철·지하철을 주로 이용해 출근하고, 30대 이상은 승용차로 출근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중교통 이용만족도 관련해서는 시내/마을버스 이용자의 34.4%가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만족하는 이유로는 정류장 버스도착 정보제공(68.0%)이 가장 많고, 환승할인으로 요금이 저렴(52.2%) 순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