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찬.jpg
김종찬 지역사회부(하남) 차장
국민의힘이 쏘아올린 김포시의 '서울편입' 문제가 하남시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서울이 실질적 생활권임에도 행정구역이 달라 불편함을 겪고 있는 현실을 강조, 시민들 스스로 서울편입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서울편입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하남시민들은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가 여론조사 전문업체 에이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5일 18세 이상 지역 시민(구리 803명·김포 812명·하남 8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10명 중 6명이 서울편입에 찬성표를 던졌다.

내년 총선에 도전하는 예비후보들도 이 같은 점을 고려, 서울편입 움직임에 동조하는 모양새다.

하지만 정작 현역 활동 정치인들은 서울편입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오죽하면 국민의힘 조경태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장이 지난달 23일 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하남시장을 겨냥 "입술이 부르트도록 활동하는데 당내 지자체장들이 협조하지 않는다"고 지적할 정도다.

반면 국민의힘 소속 하남시의회 의원들은 시장과는 결을 달리하고 있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은 지난 15일 열린 시의회 제326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 '하남시 서울특별시 편입 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그러나 관련 안건은 야당의 반대에 부딪혀 부결됐다.

국민의힘 소속 한 의원은 "지난 11월24일 더불어민주당 하남시당협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종윤 국회의원은 서울 송파구, 경기도 하남시, 성남시에 걸쳐 조성된 위례신도시의 행정구역을 통합하겠다며 '위례신도시 통합특별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법안까지 발의하겠다는 민주당이 도대체 무슨 이유에서 하남시의 서울편입을 촉구하는 안건을 반대하고 나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하남시의 서울편입 대신 행정구역과 생활권이 달라 '한 지붕 세 가족'의 형태를 띠고 있는 위례신도시 통합에만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지난 21일 개최된 시의회 제326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위례신도시 통합 특별법' 제정 촉구 결의문을 발의했다.

민주당 의원 일동은 "개발계획 당시 지자체간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 행정구역 불일치로 이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각종 불편을 감내하고 있다"면서 "지금이라도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으로 행정구역을 통합해 위례신도시 주민들의 편익을 증진하고 시민의 행복추구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렇듯 하남시의 서울편입 논의는 동상이몽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해 내년 총선을 앞둔 예비주자들은 한마디로 정의하고 있다.

자리가 없어지거나 줄어드는 서울편입 논의가 현역 정치인들에게는 그닥 달갑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이에 국민의힘은 지난 19일 하남을 제외, 김포에 이어 구리시를 서울에 편입하는 특별법을 발의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국민의힘이 다음 순서로 하남시를 포함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열어뒀다는 점이다. 시민들을 위해서라면 이해득실을 따지며 동상이몽을 꿈꾸지 말고 이제라도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김종찬 지역사회부(하남) 차장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