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세 과거 급제 조선 대표 만학도
80세 생마감 때까지 책 놓지 않아
김홍도·신윤복 함께 3대 풍속화가
'파적도'엔 긴장감·역동성 느껴져
그는 둔재였으나 노력으로 극복


2023122901000397600033752

김윤배_-_에세이필진.jpg
김윤배 시인
김득신(金得臣, 1604~1684)은 조선의 대표적인 만학도이다. 그는 회갑이 다 된 59세에 과거에 급제했다. 80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다고 전한다. 백이전은 1억1만3천번을 읽었고 노자전은 2만번을 읽었으며 중용서는 1만8천번을 읽었다. 사기(史記)를 몇 번이나 읽었는지 헤아릴 수 없을 지경이었다. 그밖에 유종원, 주책, 중용서, 목가산기, 백리해강을 수없이 읽었다.

백이전을 읽은 것은 글이 드넓고 변화가 많아서였고 중용서를 읽은 것은 이치가 분명하기 때문이었고 유종원을 읽은 것은 문장이 정밀하기 때문이었고 목가산기를 읽은 것은 웅혼해서였고 백리해강을 읽은 것은 말은 간략한데 뜻이 깊어서였다. 그는 자신이 노둔함을 알아 매일 같은 책을 읽으면서 횟수를 일일이 기록했다고 전한다.

김득신이 태어날 때 아버지 김치가 꿈에 노자를 만났다고 한다. 아이 이름을 노담 혹은 몽담으로 지었다. 그러나 신통한 태몽을 꾸고 태어난 아이는 머리가 나빴다. 열 살이 되어서야 글공부를 시작했고 공부가 늘지 않았다. 주변에서 저런 둔재가 있느냐고 비아냥거렸지만 아버지는 화 내지 않았다. 아들이 노자의 정령을 타고 났으니 반드시 문장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칠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김득신은 10대 후반에 도화서의 화원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화원으로서의 활약은 순조 대까지 이어졌다. 그는 김홍도, 신윤복과 더불어 조선의 3대 풍속화가로 일컬어지고 있지만 대중에게는 덜 알려진 화가이기도 하다. 김득신의 본관은 개성이고 자는 현보, 호는 긍재(兢齋), 홍월헌(弘月軒)이다. 1754년(영조30)에 출생하였다고 전하지만, 큰아버지 김응환(1742∼1789)과 나이 차이가 12살밖에 나지 않는다. 둘 중에 한 명의 생몰연도는 오류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김득신이 처음으로 기록에 등장한 문헌은 1772년(영조 48)에 편찬된 '육상궁시호도감의궤(毓祥宮諡號都監儀軌)'인데, 알려진 생몰 연도를 그대로 반영하면 당시 김득신의 나이는 19살이다. 이미 10대 후반에 도화서(圖畵署) 화원(畵員)으로 활동하고 있었던 셈이다. 이후 그의 화원으로서의 활약은 순조 대까지 이른다.

조선시대 화업은 '천업'으로 인식되어 반가에서는 그림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중인들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는 추세였고, 국가적으로도 그림 그리는 일이 늘어나면서 화업에 대한 인식이 점차 긍정적으로 변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도화서에서는 회화 교육이 이루어졌고, 도화서 소속 화원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정조대 때는 규장각에서 도화서 화원 30명 중 10명을 공개시험으로 선발하여 왕실의 회화 업무를 관장하도록 했다. 이를 '차비대령화원(差備待令畵員)'이라 하는데, 김득신을 비롯하여 김홍도, 김응환, 신한평, 이인문 등의 화원들이 여기에 소속되어 있었다.

화원들은 가문에서 화업을 세습하는 경우가 많았다. 김득신의 개성 김씨 집안도 그중 하나다. 개성 김씨 가문은 곡산 노씨와 신평 한씨 등 여러 화원 가문과 혼인을 맺으며 그들의 세력을 키워나갔다.

개성 김씨 가문에서 처음으로 화원이 된 인물은 김응환이다. 김응환은 김득신의 큰아버지로서 각종 의궤의 제작에 참여했다. 김응환을 필두로 개성 김씨 가문은 화원들을 대거 배출했다. 김응환의 조카인 김득신, 김석신, 김양신, 그리고 사위 이명기, 장한종이 모두 화원이다. 또한 김득신의 아들 김건종, 김수종, 김하종을 비롯하여 후손들도 화원이다.

김득신의 '파적도(破寂圖)'를 보면, 병아리를 물려고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고양이와 새끼를 살리기 위해 날갯짓하는 암탉, 그리고 주인장으로 보이는 남편과 아내의 모습이 나온다. 고양이의 동선과 닭의 움직임, 사람의 손짓이 모두 바깥을 향해 한 점으로 모인다. 눈을 그리지 않아도 누가 봐도 제일 급한 건 암탉이다. 시선을 그리지 않아도 몸짓으로 우리는 시선을 볼 수 있고, 긴장감과 긴박감, 역동성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그는 둔재였으나 노력으로 극복했다.

/김윤배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