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도민 1천명 인식조사
최대 어려움 '처우 불만'·'노인기피'
경기도민중 20대는 직장을 선택할 때 '급여 수준'을, 60대는 '출퇴근 거리 및 교통 접근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8월 7일부터 9일까지 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를 담은 '경기도 청년층과 고령층, 일자리에 대한 시각차' 보고서를 28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자 중 20대 청년층 응답자 168명 중 43.5%는 직장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급여 수준'을 꼽았다. 출퇴근 거리 및 교통 접근성 19.0%와 비교하면 2배 이상 높았다.
현재 직장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불만족스러운 처우'가 35.9%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워라밸 확보의 어려움 26.9%, 높은 업무강도 15.4%, 인간관계 어려움 10.3% 등 순이었다. 청년층에게는 급여, 복지 등 처우개선이 중요한 문제라는 분석이다.
특히 20대는 중소기업 인력난의 가장 큰 원인으로 '대기업과의 급여수준 격차(33.9%)'를 꼽았다.
60대 응답자는 165명으로, 이들은 청년층과 달리 급여 수준보다는 교통 접근성과 고용 안정성을 상대적으로 더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60대 응답자 가운데 26.7%가 직장 선택시 '출퇴근 거리 및 교통 접근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택했다. 고용안정성 25.5%, 급여 수준 16.4% 등 순이었다.
이와 더불어 60대 노동자의 63.6%는 앞으로 계속 일하기를 원하며 희망 노동 연령은 평균 70세였다.
이들이 구직 과정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노인 노동자 기피 현상(42.4%)'이었다.
그다음으로는 안정적 일자리 부족 29.7%, 낮은 급여 수준 13.9%, 단순반복적 직무 12.7% 등 순이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직장 구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 20대는 '연봉' 60대 '직주근접'
입력 2023-12-28 19:59
수정 2023-12-28 19:59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12-29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