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부터 매년 꾸준히 거래량 증가

1~9월 단말기 값 3.5%… 통계 후 최대

개인정보 유출 우려… 안심거래인증 도입 필요

중고 휴대전화
3일 수원시 인계동의 한 중고 휴대전화 매장. 2024.1.3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

경기 불황 장기화에 단말기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중고 휴대전화 시장이 성장세다. 정부도 통신비 절감 대책으로 중고 휴대전화 시장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개인정보 유출 우려 등이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소비자가 믿고 거래할 수 있는 안심거래 인증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국내 중고폰 시장 규모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중고 휴대전화 거래 규모는 지난해 6월 말 기준 387만대다. 12월 말 거래 규모는 집계되지 않았지만 추이를 고려하면 750만대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고 휴대전화 거래량은 2021년 682만대, 2022년 708만대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세부적으로 업체 매입 규모는 2021년 454만대, 2022년 544만대, 지난해 6월 기준 290만대였다. 개인 거래 규모는 2021년 227만대, 2022년 163만대, 지난해 7월 기준 97만대로 추산된다.

중고 휴대전화 시장 규모가 커진 이유는 고물가·고금리 상황 속 가계 형편은 어려워졌지만 휴대전화 단말기 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과 관련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9월 휴대전화 단말기 가격은 전년 동기에 비해 3.5% 올랐는데, 이는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시장은 성장세이지만 개인정보 유출 우려 등은 관건으로 꼽힌다. 이용 종료 휴대전화 판매 시, 휴대전화에 기록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다. 수원시 인계동의 한 중고 휴대전화 매장은 “고객이 보는 앞에서 휴대전화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삭제하기 때문에 유출 가능성은 없지만 대개 많은 고객들이 이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포천시 소재 IT 자산처리 전문 업체인 리맨 관계자는 “자체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50%가 집에 있는 폐 디지털 기기를 처분하지 않는 이유로 개인정보 유출 우려 문제를 거론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안심거래 인증제도 등이 도입되면 중고 휴대전화 시장이 더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국회에서도 중고 휴대전화 매입 사업자가 저장된 정보를 의무적으로 삭제토록 하거나, 중고 휴대전화 사업자를 안심거래 사업자로 인증하는 등의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말기유통법) 개정안이 지난해 발의됐다. 박진환 KISDI 부연구위원은 “정보 유출 우려를 해소할 경우 단순 계산을 해봤을 때 개인 중고 휴대전화 거래 규모가 7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발의된 안심거래 인증제 등의 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