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합 응답 10명중 4~5명 의견 팽팽
임대차 가격도 상승전망 하락 압도
대외 여건·기준금리 인상 여부 등
불확실성에 소비자 변수 자리잡아

부동산R114가 전국에 거주하는 1천167명을 대상으로 2024년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3명이 주택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직전 조사까지는 하락응답이 더 많았지만(하락 35%, 상승 24%) 이번 조사에서 상황이 역전(상승 30%, 하락 25%)됐다. 이처럼 상승 응답이 하락 답변을 앞지른 것은 2022년 상반기 전망 조사 이후 2년 만이다. 다만 보합에 대한 전망이 10명 중 4~5명 수준으로 가장 많은 답변을 차지해 상승과 하락 의견 자체는 직전 조사처럼 팽팽하게 맞서는 상황이다.
전·월세 등 임대차 가격에 대한 답변은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을 압도했다. 전세가격은 상승 응답이 38.99%, 하락 응답이 15.60%로 상승이 2.5배 더 많았다. 월세가격 전망도 상승 응답이 45.84%, 하락 응답이 8.23%로 5.6배나 더 많았다. 최근 전세 계약 비중이 다시금 높아지는 추세지만, 사회 전반에서 전세에서 월세로의 계약 구조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임대차 시장의 중장기 방향성에도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소비자 조사 결과처럼 2023년의 역전세 우려감을 뒤로하고 2024년에는 임대차 가격이 상승세를 굳힐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응답자 다수는 '급격한 기준 금리 인상 기조 변화(30.42%)'를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2023년 2월부터 11월까지 연 3.5% 수준에서 7회 연속 동결됐고, 미국도 2023년 9월부터 12월까지 3회 연속 기준금리를 연 5.25~5.5%로 동결해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는 물론 2024년에는 인하에 기대감도 커졌기 때문이다. 한편,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2명 중 1명은 '경기 침체 가능성(47.14%)'을 이유로 선택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의 지속적인 하향과 소비 및 수출 부진 장기화로 과거 대비 경기 침체 우려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전세가격이 오른다고 응답한 455명 중 30.99%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도권 주요지역 위주로 회복된 가격에 대한 부담감과 높은 금리 등으로 위축된 매수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를 늘려 가격 상승 압박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한편, 전세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32.97%)'를 주요 이유로 체크했다. 과거 최고점에 체결된 전세계약의 만기가 속속 돌아오기 때문으로, 실제 한국은행 등 여러 기관에서 역전세 위험가구 비중이 과거 대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들은 2024년의 핵심 변수로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19.71%)'과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17.31%)' 등을 선택했다.
이는 직전 조사와 비슷한 결과로, 아직은 기존의 대외 거시 경제 이슈의 불확실성이 완전히 걷히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 외 주요 변수로는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 환경 변화 여부(13.79%) ▲전월세가격 등 임대차 시장 불안 지속 여부(10.62%) ▲민간소비 등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9.72%) ▲정부의 270만호+α 주택공급 정책(7.97%) ▲건축비 등 물가상승(인플레이션) 요소(6.92%) ▲PF 부실 및 금융권 연체율 상승 가능성(5.16%) ▲다주택자 및 임대사업자 매물 확대 여부(4.96%) ▲4·10 국회의원 총선거(3.66%) 등을 선택했다. 4월 예정된 총선의 경우 선거일까지 아직 시간이 남아있지만 최근 서울 메가시티 논의를 포함해 정치권에서 경쟁적으로 부동산 쟁점들을 쏟아내고 있어, 선거 결과에 따른 시장 변화 방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겠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