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중도 성향인 인천 다수 의원
친명 박찬대 의원과 대립각 안세워
'공천 리스크' 최소화 위해 안간힘
'범이낙연계' 오르는 것조차 꺼려
시스템상 공천 학살 어렵다 의견도

4·10 총선 레이스가 본격화하면서 더불어민주당 인천지역 국회의원들 사이에서는 '친명' 여부에 따라 정치 행보에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비명'으로 분류된 의원들은 당 내홍의 정점으로 이어질 신당 창당을 두고 '범이낙연계'에 이름이 오르는 것조차 꺼리는 모양새다.

인천에서 명확히 친명으로 분류되는 인물은 박찬대(연수구갑) 의원 1명뿐이다. 인천 의원들은 시기별로 당내 다수 세력이었던 문재인 전 대통령, 송영길·이낙연 전 당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 등을 중심으로 한 계파에 포함됐었다.

총선이 다가올수록 이재명 대표와 총선 주자들 간 친분 관계를 '친명' '진명' '찐명' 등으로 세분화해 구분하는 가운데, 인천 의원들은 친명을 자처하기보다는 이재명 대표와 대립을 최소화하려는 모양새다.

친문계 좌장이자 대표 비명으로 꼽히는 홍영표(부평구을) 의원은 당내 비명계 모임 '원칙과 상식'은 물론, 이낙연 전 대표의 신당 창당에도 합류하지 않으면서 계파 갈등을 최소화하고 있다.

신동근(서구을) 의원은 지난 대선에서 이낙연 전 대표를 공개적으로 지지했지만 이제는 범이낙연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홍영표 의원은 지난달까지만 해도 당헌 개정안을 두고 이재명 대표를 겨냥해 강도 높은 비판을 했다. 하지만 신당 창당으로 계파 갈등이 심화하자 "갈등은 당내에서 봉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런 분위기는 최근 발생한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 등과 맞물려 총선 때까지 이어나갈 것으로 예측된다.

비명, 중도 성향에 포함되는 인천 의원 다수는 친명 박찬대 의원과 대립각을 세우지 않는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친명이 아니라는 이유로 공천에서 배제되는 '공천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민주당 사정을 잘 아는 한 지역 인사는 "'친명, 범친명이냐 아니냐'는 분명 공천 과정에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당내에 이재명 대표 사람이 부족하기 때문에 차기 대권을 놓고 봤을 때 뜻을 함께하는 동지가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민주당 인사는 "인천 의원들 중 이재명 대표와 처음부터 뜻을 함께한 사람은 박찬대 의원 뿐"이라며 "나머지 의원들은 명확히 계파를 드러내진 않지만, 최대한 이재명 대표 지역구 현안을 지원하거나 정책을 지지하는 목소리를 내면서 뜻을 같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례로 김교흥 시당 위원장은 '분열 아닌, 통합을 지향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이재명 대표 체제를 인정하고 전액 삭감됐던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을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살리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민주당이 수립한 '시스템 공천 룰' 특성상 친명 세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 '공천 학살'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있다. 민주당 중앙위원회는 지난달 선출직 공직자 하위 평가 10% 의원의 경선 득표 감산 비율을 확대(20%→30%)하는 공천룰을 확정했다.

친명을 자처하는 인물들이 잇따라 현역 의원의 지역구 출마를 예고하지만, 이들이 공천을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현역 의원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계파 외에도 경력·활동·인지도 등을 고루 갖춘 중량감 있는 인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인천 현역 의원실 한 관계자는 "비명이라는 이유로 공천에서 배제하려면 성과 평가 하위 10%에 포함되는 등 명확한 근거가 있어야 할 것"이라며 "시스템 공천이 일정 부분 작동할 것으로 보고 일부 의원의 경우 최대한 중앙 계파에 휘말리지 않으려 한다"고 설명했다.

/박현주·유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