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북한이 포 사격을 실시한 6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연평면에 적막감이 흐르고 있다. 2024.1.6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북한이 지난 5일에 이어 6일에도 해상 포 사격을 실시한 가운데 포 사격음을 직접 감지한 주민들은 불안한 기색을 드러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군은 이날 오후 4시부터 한 시간 가량 연평도 북서방에 포탄 60여 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포탄은 서해 북방한계선 북측 해상완충구역에 떨어졌다.

북한이 포 사격을 실시한 이후 연평도에서도 포 사격음이 들리기 시작했다.

연평도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김옥수(55)씨는 “어제 오전 북한이 포 사격을 할 때는 포 소리를 못 들었다”며 “오늘은 포 소리가 들리고 식당에서 밥 먹던 군인이 급하게 나갔다. 무슨 일이 벌어질까 무섭다”고 말했다.

연평도 주민 박인환(65)씨도 “포 사격 소리를 여러 번 들었다”며 “이런 소리를 들을 때 마다 주민들은 불안하다”고 했다.

인천시는 이날 오후 8시 6분께 ‘[실제상황] 오후4시~4시50분 북, 강령곶에서 연평도 북서쪽 방향 해안포 60여발 사격, 현재상황 종료, 북 특이동향 없으나 야외활동 자제바랍니다’라는 내용의 재난문자를 연평도 주민들에게 발송했다.

해상 완충구역은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해상 무력충돌 방지를 위해 서해와 동해 NLL 일대 해역에 설정됐다. 군사합의에서는 이 구역에서 포사격이나 해상기동훈련을 할 수 없도록 했다.

북한은 전날에도 연평도 북방 등산곶 일대에서 200여발 이상의 사격을 실시했다.

합참은 “북한의 연이은 적대행위 금지구역 내 포병사격은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라며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우리 군은 전날엔 북한의 포 사격에 대응하는 해상사격을 실시했으나, 이날 해상사격은 계획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에 연평도와 백령도에 내려졌던 대피령도 이날은 내려지지 않았다.

연평도 망향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장재도
6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 망향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장재도에 해안포대(붉은 원)의 문이 열려있다. 2024.01.06 연평도/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