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청년 고립·은둔 관련 보고서 발간

도내 은둔형 외톨이 13만9천명 추산

법제도적 근거 마련, 지역적 유대 강화 등 제안

0109
긴 터널 속에 우두커니 서 있는 한 젊은이의 모습. /경인일보DB

이른바 ‘은둔형 외톨이’로 불리는 사회적 고립 청년 대상 경기도 대책 마련이 필요한 목소리(2023년 8월 9일 1면 보도)가 나오는 가운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적 유대를 강화하고 1인 가구 및 가족지원 정책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청년의 고립·은둔, 진단과 대책’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은둔형 외톨이는 친구 없이 사회에 참여하지 않거나 혹은 수개월 이상 집안에 머물며 사회와 접촉하지 않는 이들을 말한다. 보건복지부의 지난해 7~8월 전국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와 국무조정실의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보면, 도내 19~34세 청년 인구 278만명 가운데 5%인 13만 9천명이 은둔형 외톨이로 추산된다.

과거에는 잘 드러나지 않았던 은둔형 외톨이가 급증한 배경에 대해 경기연구원은 달라진 양육 형태에 따른 약해진 정서조절 능력, 인터넷 발달과 배달 문화 등 적절한 은둔 여건, 강화된 개인의 영역과 느슨해진 공동체성 등 과거와 달라진 사회적 요인을 꼽았다.

은둔형 외톨이는 은둔에서 벗어나 사회와 관계를 맺고 소통하길 원하지만, 의지대로 실천하기 어려우며 불가피하게 은둔을 택했더라도 벗어나기 위해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0109
/경기연구원 제공

이에 경기연구원은 경기도의 은둔형 외톨이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먼저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해야 하며 정서적으로 유대하는 다양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애착형성과 정서안전을 뒷받침하는 중장기적 가족지원 정책 추진 등을 제안했다. 또한, 육아휴직 유급 급여 지원 제도를 단계적으로 보완해 영유아와 주양육자 간 건전한 유대 형성, 은둔형 외톨이 고령화에 대비한 1인 가구의 정책 모델 실험, 은둔을 새로운 삶의 유형으로 인정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정책 비전 수립 등을 제시했다.

오재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장은 은둔형 외톨이가 안전하다고 여겨 다가서고자 하는 지역적 유대를 활성화해야 한다. 투입 예산 대비 성과를 내야 하는 공공 위탁사업보다 당사자들의 자발적인 자조모임 형식이 바람직하며, 크고 작은 지역 공동체의 초기 구심점이 될 전문가들의 동반활동도 필요하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가족을 구성하도록 예비부모교육을 활성화함으로써 개인의 고립과 은둔이 더 이상 확산하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