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준성_-_오늘의창.jpg
황준성 지역사회부(안산) 차장
대부도는 무인도와 유인도 19개 섬으로 이뤄진 섬마을이었으나 1994년 1월 시화방조제 공사가 완료되면서 육지와 연결됐고 같은 해 12월 화성시 반월면 일부와 인천시 옹진군 대부면이 안산시로 편입되면서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이 됐다.

시화방조제로 접근성이 개선된 데다가 천혜의 해양·생태관광자원을 보유해 연간 1천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서해안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거듭났다.

하지만 주민 대부분은 여전히 농업과 어업에 주로 종사하고 전체 면적 중 88%는 녹지로 남아있다. 주거 및 상업지역은 3.1%와 0.2%에 불과하다. 전형적인 도농복합지역이지만 안산시로 편입되면서 행정구역상 일반 시의 도시지역인 동으로 묶여 있는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부도 주민들은 도농복합지역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대입농어촌특별전형은커녕 고교 수업료 감액, 환경개선부담금 및 등록면허세 등 각종 세금과 부담금 경감 등에서도 무관하다. 세금은 도시의 주민들과 똑같이 내고 있다.

실상은 농어촌 지역인데도 도심으로 분류돼 수십년간 역차별을 받고 있는 셈이다.

안산시와 지역 국회의원들은 계속해서 대부동의 면 전환을 정부에 건의해 왔다. 2020년에는 '일반 시 중 농어촌의 특성을 가진 지역이 있는 시의 경우 도농복합형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방자치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발의됐다. 그러나 개정안은 통과되지 못했고 정부의 답도 함흥차사다.

올해는 대부도가 안산으로 편입된 지 30주년 되는 해다. 언제까지 대부도 주민들에게 희생만을 강요할 수 없다.

재작년까지만 해도 대부동(洞)에서 대부면(面)으로 전환 추진 움직임이 활발했는데 어느새 소홀해진 분위기다. 국내의 유일한 사례이다 보니 안산 외에는 관심이 없을 수 있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대부면으로의 전환을 위해서 안산의 모두가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

/황준성 지역사회부(안산) 차장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