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재단은 어떤 이유인지 몰라도 관장 인사를 차일피일 미루다 결국 관장 직무대행 체제를 결정했다. 또 재단은 복지관의 기존 민간위탁 만료 및 관장 고용계약 종료가 지난해 말로 예정됐지만 인사위원회를 통한 '직원충원계획 사전심의', '임용권자의 요구에 따른 보직관리 기준 및 승진·전보임용 기준의 사전의결', '승진임용의 사전심의' 등의 절차를 밟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이 이렇자 일각에서는 재단 인사 규정·절차를 무시한 처사로 재단이 관장 공백 사태를 자초했다는 책임론까지 불거지고 있다. 더불어 재단은 관장 공석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향후 관장 인사와 관련 즉답을 피한 채 직무대행 체제를 옹호해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군도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군수가 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고 재단과 복지관 소관 업무를 각각 군 복지정책과와 행복돌봄과가 담당하고 있지만 재단의 이 같은 인사관리 오류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2년 행정사무감사 시정사항인 '시설장 공석으로 인한 주민불편 해소 대책'과 관련해 재단은 당시 '재단 인사규정 및 재단직원채용 및 임용 등에 관한 시행규칙에 따라 채용절차를 명확하게 하여 결원을 충원하겠다'는 조치 결과를 의회에 제출했다. 이러한 결과 조치는 규정과 규칙을 준용하는 재단의 인사원칙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모쪼록 재단의 인사관리가 이율배반적인 행태에서 벗어나 하루빨리 정상화되길 기대해 본다.
/김민수 지역사회부(가평)차장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