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지도·청소년 선도 경력자
관할 지원청 '제로센터' 배치
오늘부터 접수… 누리집 참조
경기도교육청은 교원이 수업과 생활지도에 집중하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오는 3월 1일부터 학교폭력전담조사관 제도를 운영한다.
21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학교폭력전담조사관은 학교폭력 업무에 대한 생활지도 및 학생 선도 경력이 있고 사안파악·정리 역량 등을 갖춘 퇴직교원 또는 퇴직경찰, 청소년 선도·보호·상담 활동 등의 유경력자로 위촉한다.
도교육청은 학교폭력전담조사관 730여명을 구성해 학교폭력 사안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학교폭력전담조사관은 관할 교육지원청 학교폭력제로센터에 배치하며 교육지원청별 접수 건수에 따라 5명에서 70명 내외로 구성한다. 충분한 사전 연수 운영 후 학교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들은 ▲학교폭력 사안조사 ▲학교폭력 사례회의 참석, 결과 보고 ▲학교전담경찰관(SPO)과 정보공유·사안 조사·자문 요청 ▲필요시 심의위원회 참석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 학교폭력 사안이 접수되면 학교를 방문해 해당 사안을 중립적·객관적으로 조사하고 조사보고서를 작성한다.
학교폭력전담기구, 사례회의·심의위원회 등 회의에 참석해 조사 결과를 보고한다.
전담조사관 희망자는 이달 22일부터 해당 지역 교육지원청 누리집에 게시된 공고문을 참고해 기간 내 지원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서은경 도교육청 생활인성교육과장은 "학교폭력전담조사관 제도를 안정적으로 정착해 학교가 학교폭력 예방과 학생의 관계 회복에 전념하는 환경이 조성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학교폭력전담조사관은 지난 12월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폭력 사안처리 개선 및 학교폭력전담경찰관 역할 역량 강화'방안에 따라 운영한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
경기도교육청 '학폭 전담조사관' 시동… 730명이 만들어가는 '사랑의 학교'
입력 2024-01-21 20:40
수정 2024-01-21 20:40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1-22 1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