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현안 두 지자체 연합 필요


신시흥~신송도 송전선로 구축 진행
'5㎞ 시흥시 구간' 주민들 반대 숙제

'배곧대교' 환경단체와 충돌 상태
'소래염전 공원' 서로 의견 불일치

"공동대응체계 통해 가치 확대를"

'송도국제도시 바이오클러스터 전력난' '시흥갯골공원을 포함한 소래염전 국가도시공원 지정' '송도와 배곧신도시를 잇는 배곧대교 건설'. 인천시가 시흥시와 함께 협력해야 할 과제다. 효율적이고 원만한 사업 추진을 위해 인천시가 인접 지자체의 상시 연합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2일 인천시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는 신시흥 변전소 부하 분담과 인천 송도 및 남서부 전력 공급을 위해 신시흥~신송도(7.367㎞) 구간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 중이다. 전체 사업비는 2천741억원으로, 현재 송도11공구에 지을 신송도변전소(345kV) 설계가 진행 중이다.

당초 한전은 지난해까지 신송도변전소 준공을 목표했다. 하지만 사업이 지연돼 현재는 2027년까지 신송도변전소를 설치한 후 2028년 12월께 송전선로 구축을 마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송도 내 입주기업의 전력 사용 수요는 계속해서 늘고 있다.

반도체 후공정 업체인 엠코테크놀로지(5공구)는 오는 2028년 5월까지 37㎿ 용량의 전력 공급을 희망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11공구)는 올해 20㎿, 2026년 15㎿의 수전이 필요하고, 오는 2032년까지 총 80㎿로 규모가 늘어날 전망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7공구)는 올해와 2025년 각 12㎿, 11㎿, 롯데바이오로직스(11공구)는 2025년부터 18㎿를 써야 한다. 독일 바이오 기업인 싸토리우스(5공구)는 올해 14㎿, 세브란스병원(7공구)은 2026년 14㎿ 수전을 희망하고 있다. 셀트리온(4공구)도 지난해 전력량을 7㎿ 늘렸다.

2026년도 상반기까지 필요한 전력량은 현시점에서 모두 공급이 가능하지만, 이후 기업 유치 등으로 늘어날 추가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선 신송도변전소 건립이 제때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선 시흥시민의 송전선로 설치 반대를 넘어야 한다. 전체 송전선로 7.367㎞ 가운데 5㎞가 시흥시 관할이다. 초고압 전기가 흐르는 지중화 송전선로가 7만여 명이 사는 배곧신도시 중심을 관통해 주민 반대가 크다. 시흥시는 한전에 지반조사 인·허가를 내주지 않으며 버텼지만 지난해 행정소송에서 패소했다. 법적 하자는 없지만 앞으로 송전선로 설치 과정 중 주민 반발이 거세질 가능성이 있다.

송도와 시흥 배곧신도시를 연결하는 배곧대교도 인천시 혼자만의 힘으론 부족하다. 배곧대교는 총연장 1.89㎞, 폭 20m(왕복 4차로) 규모의 사장교다. 다리가 건설되면 상습정체구간인 송도 아암대로와 제3경인고속도로 정왕IC 구간 교통난이 해소될 전망이다. 생활권이 겹치는 송도와 배곧의 경제적 시너지 효과도 예상된다.

하지만 교량 건설에 따른 송도 습지보호지역 훼손 우려로 환경단체의 반대와 한강유역환경청의 사업 부동의에 부딪친 상태다.

소래염전 국가도시공원도 비슷하다. 인천시는 소래습지 일대를 '국내 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송도갯벌부터 소래포구 옆 소래습지, 시흥갯골공원까지 이어지는 660만㎡ 규모의 녹색 공간을 만드는 계획이다. 특히 서해안에서 갈라지는 시흥갯골공원은 소래습지와 뿌리가 같고 접근성이 좋아 국가도시공원 구역에 함께 묶여야 하지만, 현재는 인천시와 시흥시의 뜻이 맞지 않아 후순위로 밀려있다.

인천시가 시흥시와 상시 연합 체계를 구축해 각종 현안에 함께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인천시가 인접 도시와 공동 발전을 목표로 구상한 '광역연합' 체계 구축(1월17일자 1판 1면 보도)도 궤를 같이 한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인접 도시가 네트워크를 구성, 광역 단위로 협력해 중요 현안 사안에 대한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며 "단순한 지자체 행정구역 편입은 논란을 일으키지만, 광역 연합을 통한 대응은 지자체 간 가치를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

2024012301000273200026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