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하안~신림선' 지역갈등 뇌관
수도권 서부지역 지방자치단체마다 지하철(철도) 계획을 제각각 수립하면서 극심한 갈등을 빚고 있는 '5호선 김포연장선'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4·10 총선에서 지하철 계획이 주요 선거공약으로 떠올라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23일 수도권 서부지역 지자체에 따르면 시흥시·광명시와 서울 금천구·관악구는 2022년 11월말 신천~하안~신림선 사업 추진을 위한 공동협약을 체결했으며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결과도 경제성(B/C)이 '1'을 넘어서 사업에 청신호가 켜진 상태다.
특히 신천~하안~신림선을 광명시흥 3기신도시 광역교통대책에 포함시켜 신속히 추진하고, 지난해 5월 구로차량기지 이전 백지화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2경인선을 신천~하안~신림선과 통합해 연결하는 방안도 모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시흥 신천·은계를 거쳐 부천 옥길부터 신구로선을 이용해 목동역(5호선)까지 연결하는 민자노선이 추진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인천시와 대우건설이 추진하고 있는 제2경인선 민자노선으로 이미 광명시흥 3기신도시 광역교통대책에 포함된 광명시흥선(남북철도)을 지선으로 추진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는 KTX광명역과 1·2호선 신도림역을 연결하는 노선을 해당 지자체와 협의 없이 변경하는 것은 물론 광명시흥 3기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사업비(부담금)를 이용해 제2경인선을 추진할 수 있다는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달 초 보도자료까지 내고 "광명시흥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사업비는 광명시흥신도시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돼야 한다"면서 제2경인선 지선으로 추진하는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뿐만 아니라 신천~하안~신림선과 제2경인선 민자노선이 지나는 지역의 총선 출마자들마다 지하철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노선 유치 경쟁이 벌어질 가능성마저 높아지고 있다.
광명/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