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답게 vs 대수롭게… 기후위기 대응, 경기도-공공기관 '엇박자']


의무사항 아냐… 독려에도 한계
작년 1억6천만… 1년새 1억 줄어
경영실적 평가지표도 비중 낮아

 

민선8기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강조하며 각종 정책을 추진 중이나, 일부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의 친환경제품(녹색제품) 구매율은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경기도는 녹색제품 구매율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 반영해 이들을 독려하고 있지만, 비중이 높지 않으며 녹색제품 제도자체가 의무사항이 아니기에 구매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김동연 지사의 의지를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이 쫓아가지 못한 셈이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도내 산하기관 17곳의 녹색제품 구매실적은 1억6천875만5천원으로 총 구매액과 비교하면 60.4%를 차지했다. 2022년 구매비율이 31.1%였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가량 늘었는데 구매실적은 2억5천여만원에서 약 1억원 줄었다.

이 가운데는 구매비율을 90~100% 채운 곳도 있었지만, 17곳 중 6곳의 구매비율은 평균치에도 못 미쳤다.

경기문화재단과 경기아트센터,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의 녹색제품 구매비율은 모두 10%대에 그쳤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의 구매비율도 41.2%에 불과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9월 기준으로 남은 3개월간 실적이 더 올라갈 수 있다는 설명인데, 경기문화재단의 경우 2022년에도 구매비율이 14.5%에 그친데 이어 2023년 9월에도 10%대에 머물렀다.

녹색제품은 에너지·자원 투입, 온실가스 등의 발생을 최소화한 것으로 현행 녹색제품 구매법에 따라 공공기관은 제품을 구매할 경우 녹색제품을 의무적으로 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의무 구매 비율이 정해져 있거나, 이를 충족하지 못했을 때의 처벌 규정 등은 별도로 없어 사실상 권고 사항이나 마찬가지다.

이에 경기도는 녹색제품 구매를 독려하기 위해 산하기관 경영실적 평가지표에 이를 반영하고 있지만, 큰 비중을 차지하진 않는다.

민선8기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에 방점을 두고 일회용품 규제 등에 나서고 있는 만큼 녹색제품 구매를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런 상황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녹색제품 구매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 아직 일부 산하기관에서는 구매비율이 낮은 상황"이라며 "녹색제품을 많이 구매하도록 홍보 등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