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출 오염수 지자체 처리방식 논란


진위천 유입 막으려 3만5천t 방제
희석 불가할땐 지역내 업체로 옮겨
"결국 인근 평택호로 들어갈수도"
시민단체 우려 "업체명도 비공개"
市 "구간별 오염도 측정해 분류"


ㅇㅇ.jpg
대규모 수질오염사고가 발생해 파랗게 물든 평택시 관리천에서 방제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2024.1.24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화성과 평택시를 잇는 관리천에서 대규모 수질오염사고가 나 정부 당국은 물론 지자체들이 방제작업에 열을 올리는가 하면 지역 주민들 역시 피해를 호소(1월25일자 7면 보도=오염사고 평택 관리천 주변 마을·농가 고통 호소)하는 가운데 평택지역 환경단체에서 오염수 중 일부가 전문 폐수처리업체가 아닌 하수처리장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며 2차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25일 평택시와 화성시 등에 따르면 화성시와 평택시는 오염수가 진위천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19곳에 방제둑을 설치하고 탱크로리를 투입해 최근까지 오염수 3만5천여t을 처리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이달 10일 환경부가 해당 오염수에 대해 수질검사를 한 결과 구리, 벤젠, 나프탈렌 등 5종의 유해물질이 수질기준의 2~36배 초과, 생태 독성도 16배 이상 초과했다.

화성시는 자연 유입 하천수(비오염수)는 살수차로 발안천에 방류하고, 하루 평균 1천500여t 정도의 오염수는 전문 폐수처리업체(A사 등 4곳)에 위탁·처리했으며, 평택시 역시 3천~3천500여t의 오염수를 수거 및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희석이 불가한 유해물질이 섞인 오염수를 폐수처리업체를 통해 처리한 화성시와 달리 평택시에선 이날 현재까지도 일부 오염수를 지역 내 하·폐수처리장으로 옮기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환경단체의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평택시 측은 오염수 처리업체의 요청으로 정확한 업체명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어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명수 평택시민환경연대 공동대표는 "구리 등 유해물질이 기준치 이상 포함된 오염수를 전문 폐수처리업체가 아닌 미생물을 이용해 처리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낸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면서 "하수처리장에 있던 오염수는 결국 인근 평택호로 들어갈 텐데 그렇게 되면 그곳까지 오염되는 게 아닌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환경전문가들도 이 같은 우려에 대해 처리 기준이나 절차 등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강원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허우영 교수는 "오염수를 희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긴 하지만 오염도는 어느 정도인지, 어떤 유해물질을 어디에서 어떻게 처리하는지 등을 정확하게 공개한 뒤 처리해야 한다"면서 "그런 부분들이 사전에 공개되지 않다 보니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 하수처리시설을 이용해 처리한 오염수가 생태계에 어느 정도 문제가 있는지 등을 정확하게 공개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화성시 관계자는 "희석이 불가하다고 해 오염수 전체를 전문 폐수처리업체를 통해 처리했다"고 말했고, 평택시 관계자는 "구간별로 오염도 측정 결과에 따라서 폐수처리업체와 공공 하·폐수처리업체로 분류해 오염수를 처리하고 있다"며 "업체 측에서 업체명 비공개를 요청해 자세한 정보는 공개가 어렵다"고 밝혔다.

/이상훈·한규준기자 sh2018@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