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전국 9곳 순회 수요 조사

제물포 르네상스 등 프로젝트 연관
대상 총면적 360㎢·수시 공모 전환
입주기업 중 절반 보유 당위성 충분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이 전국 9개 경제자유구역을 순회하며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수요를 파악한다. 민선 8기 인천시 핵심 사업인 '제물포 르네상스' '뉴홍콩시티' 프로젝트 등 대부분이 경제자유구역 확대와 맞물려 있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산업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은 내달까지 전국 9개 경제청을 방문해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수요를 점검하고, 수출·투자 촉진을 위한 애로사항을 듣는다. 인천경제청은 2월1일 방문할 예정이다. 이날 산업부 경제자유기획단은 인천경제청으로부터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계획 등을 보고받고 현장을 방문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지난달 '제3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현재 총면적 271.4㎢ 이내로 지정된 경제자유구역 대상 면적을 360㎢ 이내로 늘리고, 민간 투자 수요를 적기에 반영하기 위해 5~6년 주기로 일괄 공모하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방식을 '수시'로 전환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제3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 발표 이후 경제자유구역을 신규로 지정받으려는 자치단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인천을 포함해 부산, 경기 등 주요 자치단체가 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신규 지정을 계획한 자치단체들도 있다. 대부분 지방자치단체는 다양한 특구 제도 중에서도 외국인 투자와 첨단산업 등을 지역에 유치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선호한다.

지난 2003년 국내 1호로 지정된 인천경제자유구역(송도·청라·영종국제도시) 면적은 122.4㎢ 로 80% 이상 개발이 완료된 상태다.

인천시는 유정복 시장 취임 이후 현재 경제자유구역 면적의 40.8%에 해당하는 49.99㎢를 추가로 지정받아 인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인천 내항(6.06㎢)을 비롯해 강화 남단(18.92㎢)과 수도권쓰레기매립지(16.85㎢), 송도 일원(3.16㎢) 등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받기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사실상 국내 경제자유구역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만큼 추가 지정 당위성도 충분하다는 게 인천경제청 설명이다. 국내 경제자유구역 외국인직접투자(FDI)의 70% 이상을 인천이 차지하고 있고, 전국 경제자유구역 입주기업 7천644개 가운데 절반 정도인 3천821개가 인천에 모여 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산업부에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당위성을 충분히 설명할 계획"이라며 "첨단산업 유치와 도시 균형발전 등을 위해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