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민기(용인을)·이탄희(용인정) 의원의 22대 총선 지역구 불출마 선언 이후 용인 전역에 '전략공천' 분위기가 감돌며 지역 정가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여야 모두 용인병을 제외한 갑·을·정 선거구에 전략공천 본격화 가능성이 불거져 총선을 70여 일 앞두고 기존 예비후보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1대 총선에선 민주당이 을·병·정에서 총 3석을, 국민의힘의 전신인 미래통합당이 갑에서 1석을 각각 차지했다. 그러나 4명의 현역 의원 중 이번 총선에 다시 출마하는 건 용인병 선거구의 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유일하다.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지난 23일 전략공천 세부기준을 발표, 최근 선거에서 3번 연속 패한 지역과 현역 의원 및 원외당협위원장이 부적격 기준에 의해 심사 대상에서 원천 배제된 지역 등에서 우선 추천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기준에 따르면 의원직 상실로 공석 상태인 용인갑을 비롯해 을·정 등 3개 선거구가 전략공천 대상 범위에 포함된다. 앞서 민주당은 이미 지난 15일과 25일, 현역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용인정과 용인을 지역구를 각각 전략선거구로 지정·발표한 상태다.

전략공천 변수가 등장하며 현재 3개 선거구에서 발품을 팔고 있는 여야 예비후보들은 다소 맥이 빠지는 모습이다. 국민의힘의 경우 현재까지 예비후보로 등록된 후보만 3개 지역구에서 총 15명(갑 6명, 을 5명, 정 4명)에 달한다.

한 예비후보는 "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수개월째 유권자들과 스킨십을 해오고 있는데, 이런 걸 다 무시한 채 무조건 낙하산으로 내리꽂는다면 너무 허무하지 않겠느냐"고 토로했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