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대중음악 아카이브 프로젝트… 관교동에 밀집한 연습실·메탈시티 등 서술


■ 비욘드 레코드 : 1985-1995 인천 록메탈 연대기┃고경표·김학선 지음. 복숭아꽃 펴냄. 224쪽. 2만원

비욘드 레코드
인천에는 서울, 부산보다도 강한 음악씬(scene)이 있었다.

1980년대 헤비메탈의 시대가 도래하자 '아웃사이더스' '제3세대의꿈', 1986년 결성된 인천의 맹주 '사하라', 강변가요제 수상의 '티삼스' 등 굵직한 밴드들이 활동하며 인천 씬을 형성하고 키웠다. 이들의 주무대는 주안동 인천시민회관, 수봉공원 문예회관, 신포아트홀, 인하대학교 강당, 동인천 대명라이브파크 등이었다. 공연마다 구름 관중을 모았다고 한다.

또 음악(영상)감상실이면서 공연장이던 동인천 심지, 유진음악감상실, 성림음악감상실은 물론 밴드의 산실 역할을 한 휠음악학원, 대명음악학원(대명라이브파크 전신), 현대음악학원 등도 인천 씬의 한 축이었다.

1980~1990년대 록, 헤비메탈 음악의 대표적 씬이 인천이었다는 건 전설처럼 떠돌던 이야기다. (사)인천음악콘텐츠협회가 최근 발행한 '비욘드 레코드(Beyond Record) : 1985 - 1995 인천 록메탈 연대기'는 그 전설을 수년에 걸쳐 역사로 복원하려 노력한 결과물이다.

비욘드 레코드는 큐레이터 고경표가 2016년부터 기획한 인천 지역 대중음악 아카이브 프로젝트다. 4차례(2016~2017년 임시공간, 2017년 인천여관, 2017~2019년 인천생활사전시관, 2022~2023년 인천음악창작소 포트록) 전시 내용을 엮은 게 이번 책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기획자 고경표와 함께 책 저자로 참여한 음악평론가 김학선이 2장 '인천 록헤비메탈 연대기'에서 전문적으로 인천 대중음악사를 서술했다.

저자들은 3장에서 '관교동, 인천 LA' '인천 메탈 시티'란 글로 관교동과 동인천 등지의 인천 록·메탈의 흔적을 쫓았다. 그 시절 인천 음악씬에서 동인천만큼 흥미로운 공간은 관교동(현 미추홀구)이다. 관교동에 밀집한 소규모 건물과 다세대 주택의 지하실은 1990년대 인천은 물론 서울에서 온 수많은 프로·아마추어·스쿨 밴드의 연습실이었다.

사하라의 보컬 우정주(전 인천음악콘텐츠협회장)는 왜 서울에 가서 활동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한다. "왜냐하면 씬이 있으니까."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